경제·금융

北, 핵폐기 '구체행동' 나설듯

다른 참가국 상응조치 연계한 로드맵 작성이 남은 과제

6자회담 미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오른쪽)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18일 베이징 세인트레지스 호텔을 나서며 실무회담 결과와 19일부터 있을 6자회담 본회담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北, 핵폐기 '구체행동' 나설듯 다른 참가국 상응조치 연계한 로드맵 작성이 남은 과제 베이징=이성기 기자 sklee@sed.co.kr 6자회담 미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오른쪽) 미 국무부 동아태 차관보가 18일 베이징 세인트레지스 호텔을 나서며 실무회담 결과와 19일부터 있을 6자회담 본회담 등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연합뉴스 '2ㆍ13 베이징 합의'이행에 걸림돌이었던 방코델타아시아(BDA)의 북한자금 해제 문제가 '전액 해결' 쪽으로 가닥을 잡으면서 북한이 핵 폐기를 위한 본격적인 행동단계로 접어들 가능성이 높아졌다. 북한은 줄곧 "핵시설을 폐쇄하기 위한 준비작업에 착수했다"고 밝히면서도 '선(先) BDA 자금 해결'이라는 조건을 내세워왔다. 북측 회담 수석대표인 김계관 외무성 부상이 지난 17일 베이징에 도착했지만 미국 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미 국무부 차관보와의 북미 양자회동은 물론 회담 의장국인 중국의 우다웨이 부부장과도 만나지 않은 채 '칩거'한 것은 BDA 문제 해결을 위한 전략적 행보로 풀이된다. 'BDA 해결'이라는 고비를 넘어서면 북한은 즉시 영변 5㎿ 원자로 가동을 중단하고 초기조치 이행 시한인 오는 4월14일까지 국제원자력기구(IAEA) 사찰단의 참관하에 폐쇄ㆍ봉인작업에 착수할 것으로 예상된다. 남은 과제는 2ㆍ13 합의 2단계 조치라 할 북한의 '모든 핵 프로그램 신고 및 불능화 작업'과 나머지 5개국의 중유 95만톤에 이르는 경제ㆍ인도적 지원 '연계' 작업이다. 힐 차관보도 이날 "진짜 이슈는 60일 이후 핵시설 불능화와 핵 프로그램 신고 등 비핵화를 위한 다음 단계로 들어가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정부의 한 고위당국자는 이와 관련, "신고 자체에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고 정확하고 완전해야 한다"며 "정확하다는 것은 틀린 게 있으면 안 된다는 의미이며 완전하다는 것은 누락되는 게 있으면 안 된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19일 베이징 댜오위타이(釣魚臺)에서 개최되는 제6차 6자 회담에서 참가국들은 분야별 실무그룹에서 논의된 내용을 토대로 초기단계 이행조치를 구체화하기 위한 방안을 논의한다. 또 4월 말이나 5월 초에 열릴 것으로 알려진 6자 외무장관회담 일정 및 의제 등도 협의할 예정이다. 정부 고위당국자는 "이번 회담에서 6자 외무장관회담 개최 일자를 잡는 것이 중요하다"며 "외무장관회담이 열리게 되면 그 직전에 6자 회담이 다시 열릴 것"이라고 말했다. 의장국인 중국은 이번 회담의 협의 결과를 의장성명이나 의장요약 등으로 정리해 발표할 예정이다. 입력시간 : 2007/03/18 17:3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