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2월 19일] 금융시장 안정시켜 위기설 잠재워야

금융시장 불안이 재연되면서 자칫하면 3월 위기설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원ㆍ달러 환율은 7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가며 1,460원을 훌쩍 넘어서 1,500원대를 넘볼 기세다. 주가도 최근 8거래일 중 하루를 빼고 연일 하락하며 1,200선이 깨지고 1,100선마저 위협 받고 있다. 최근의 금융불안은 국내외 악재가 겹친 데 따른 것이다. 버락 오바마 정부의 경기부양책에 대한 회의론과 GM 파산신청설, 동유럽 국가의 디폴트설에 따른 미국ㆍ유럽 등 글로벌 증시 급락 등 국제금융시장 여건이 급격히 악화되고 있다. 여기다 대내적으로도 수출급감에 따른 무역수지 적자, 3월 만기도래 외채 부담, 일부 은행의 후순위채 조기상환 불응에 따른 국내 은행의 외화유동성에 대한 의구심, 북한의 미사일 발사 움직임 등 악재투성이다. 이런 안팎의 요인으로 외국인투자가들이 국내 증시에서 다시 매도세로 돌아서면서 외환수급 악화로 환율상승과 주가하락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 금융시장 불안은 실물경기 침체를 더욱 부채질하고 실물경기 침체는 금융시장 불안을 증폭시키는 악순환으로 이어진다. 윤증현 기획재정부 장관이 18일 위기관리대책회의에서 “금융시장을 안정시켜야 실물 부문의 불확실성을 줄일 수 있다”며 “현재 가장 시급한 과제가 금융시장 정상화”라고 강조한 것도 이 때문일 것이다. 가장 큰 문제는 역시 환율불안과 외화유동성 문제다. 지금의 금융시장 불안에는 대내적 요인도 있지만 그보다는 해외 악재가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런 만큼 외화수급 문제 해결이 중요하다. 지금 외화조달 사정은 지난해보다는 조금 숨통이 트이기는 했지만 여전히 살얼음판을 걷는 양상이다. 동유럽발 제2금융위기 우려가 현실로 나타날 경우 순식간에 악화될 수 있는 만큼 만일의 사태에 대비해야 한다. 경상수지 흑자 노력, 미국ㆍ일본ㆍ중국과의 통화스와프 확대 및 기간 연장 등을 통해 가능한 한 외화를 많이 확보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 외환보유액과 외채규모 및 성격, 특히 3월 만기 도래 외채 등을 구체적으로 공개해 근거 없는 불안심리를 해소해야 한다. 그래야 3월 위기설을 잠재울 수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