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휴대전화 대량스팸, 게 섰거라"

정통부, 조기 추적·차단 시스템 구축

무작위로 대량 발송되는 휴대전화 스팸을 조기에 파악해 번호 차단, 수사 의뢰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돼 본격가동된다. 정보통신부는 휴대전화를 이용한 스팸 발송을 줄이기 위해 `휴대전화 스팸 트랩(Trap) 시스템'을 개발, 26일부터 본격 가동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정통부는 이 시스템이 1개월여의 시범 운영을 거쳐 본격 가동함에 따라 그 동안휴대전화를 통해 무작위로 살포되는 불법 스팸을 발송하는 사람을 즉각 파악해 번호정지 등 조치를 조기에 취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동통신 3사의 지원과 협조 하에 정통부와 한국정보보호진흥원(KISA)이 주도적으로 개발한 이 시스템은 특정 휴대전화 번호를 시스템에 등록한 후 이 번호로 걸려오는 모든 종류의 음성 및 문자 스팸 내용 등을 자동으로 저장, 분석할 수 있도록설계됐다.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개발해 도입한 이 시스템은 자동전화발신시스템(ACS, Automatic Calling System)이나 SMS(문자메시지) 스팸은 물론 증거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원링(One Ring) 및 URL-SMS(포털 문자메시지) 스팸정보까지 자동으로 수집할 수 있어 불법 스팸에 대한 증거 확보 능력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보인다. `원링'은 벨이 1~2번 울리고 수신번호만 남기고 끊어 수신자의 호기심을 유발하여 접속을 유도하는 것이며 URL-SMS는 스팸 회신번호에 인터넷주소를 남겨놔 수신자가 접속하면 인터넷 사이트로 연결되는 방식이다. 정통부는 이달 시스템 시범운영 결과 전체 스팸 수신 1천700여건중 그동안 060에 대한 집중 단속으로 성인광고는 전체의 10% 정도인 160여건에 불과한 데 반해 대출정보 스팸의 경우 전체 52%인 890여건인 것으로 집계됐다. 이에 따라 정통부와 정보보호진흥원은 스팸 트랩 시스템을 통해 060 음란채팅및 대출 광고는 물론 휴대전화, 위성방송, 초고속인터넷 가입자 모집 등 다양한 유형의 스팸 정보를 분석하고 스팸 해당 번호를 조기에 차단할 방침이다. 또 대량 스팸 발송자에 대해서는 수사 기관에 수사를 의뢰하는 등 휴대전화 스팸 근절을 위해 수사 기관과 적극 공조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