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구심점 잃은 중기컨소시엄 향배 관심

■ 중기중앙회 제4이통사업 포기 <BR>"측면지원은 계속" 입장 불구 업체 일부 중도이탈 가능성 <BR>국내이통시장 이미 포화상태… 후발주자 진입 어려움 드러나


중소기업중앙회가 사실상 제4이동통신사업 포기의사를 밝힘에 따라 중기 컨소시엄의 향배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중앙회는 직접 출자는 하지 않는 대신 컨소시엄의 측면 지원은 계속하겠다는 입장이지만 선장이 없는 배가 제대로 항해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특히 이통사업에 대한 중소업계의 의욕은 컸지만 역시 판이 짜여진 통신시장에서 후발주자의 진입이 녹록지 않다는 사실이 다시 한 번 입증된 셈이다. ◇중기중앙회 왜 발 빼나=중기중앙회가 이통사업을 포기한 결정적 이유는 자금마련의 어려움과 중소기업청의 반대 때문으로 보인다. 중앙회는 제4이통사에 직접 출자 1,000억원, 중소업계 단체 1,000억원 등을 통해 약 30%의 지분을 확보, 최대주주의 자리를 계획했었다. 당초 중앙회는 6,000억원 규모의 노란우산공제기금에서 대여하면 별 문제가 없다고 생각했지만 중기청은 불가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당장 자금조달에 차질을 빚게 된 것이다. 정부 관계자는 "중기청 내부에서는 중앙회의 이통사업 출자를 절대 용인해줄 수 없다는 분위기가 팽배했던 걸로 안다"며 "중기전용 홈쇼핑 사업과 달리 이통사업은 명분이 약해 중기청의 반대가 노골적이었다"고 전했다. 불투명한 통신시장 앞날도 걸림돌로 작용했다. 적자를 면하기 위해서는 초기에 400만~500만명의 가입자를 확보해야 하지만 격화 중인 통신업계의 경쟁구도를 놓고 볼 때 쉽지 않은 일인데다 인프라 구축에 2조~3조원을 추가로 투입할 경우 중앙회가 최대주주 지위를 잃지 않기 위해 3,000억원 이상을 넣어야 하기 때문이다. ◇선장 없는 컨소시엄의 향배는=중앙회는 표면적으로는 직접 출자는 포기하는 대신 인력지원 등 컨소시엄의 측면 지원은 계속할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중앙회에 이통사업 출자 의사를 밝힌 중소기업은 2,000여개에 출자금액 규모는 약 2,500억원이다. 이와 별도로 중기 컨소시엄의 대표격인 양승택 전 정보통신부 장관 쪽에서는 대기업 등 큰손 투자자 유치에 나서고 있다. 하지만 컨소시엄의 구심점인 중앙회가 빠진다면 상황은 달라질 가능성이 높다. 중앙회 관계자조차 "중앙회를 믿고 투자를 약속한 중기업체 일부는 중도 이탈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MI 앞날도 안갯속=유일한 제4이통 예비사업자인 한국모바일인터넷(KMI)도 상황이 녹록지 않다. KMI는 지난 26일 방송통신위원회에 세번째 통신사업자 신청서를 냈다. 대표가 방석현 전 정보통신정책연구원장으로 바뀌고 주주구성ㆍ사업계획서 등도 수정됐지만 업계에서는 큰 기대를 걸지 않는 눈치다. KMI는 이미 주주 구성이나 자금력ㆍ기술력 등에 문제가 있다는 이유로 두 차례 고배를 마신 바 있다. 사업 승인을 받은 후도 문제다. 업계 관계자는 "3위인 LG유플러스가 대기업 계열사인데도 고전하고 있는데 4이통사가 얼마나 성공을 거둘 수 있을지는 의문"이라고 말했다. 현재 국내 이동통신 가입자는 인구 수보다도 많은 5,100만명을 넘어 포화상태다. 시장의 구도도 SK텔레콤과 KT, LG유플러스가 대략 5대3대2씩을 차지하는 형태로 수년간 지속돼왔다. 때문에 어지간한 대기업이 손을 대지 않는 한 이 같은 구도를 깨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게 업계의 관측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