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대학도 기업도 '붕어빵 스펙' 강요…창의성 가로막아

[경제 百年大計 교육에서 찾는다] 1부. 문제는 낡은 교육 <3> '한국형 스티브 잡스'가 없다<br>대학들 실무능력 명분 앞세워 인문학등 교양과목 수업 외면<br>기업도 획일적 만능인재 요구<br>"원하는 학문 배울 기회 없어" 학생들 취업문턱서 갈팡질팡


대학생도 취업을 위해 사교육을 받는다. 인문학이나 전공에 대한 욕구 못지않게 기업이 요구하는 기본 스펙(Specification·취업에 필요한 자격요건)을 만들기 위해서다. 취업이 늦어질수록 늘어나는 취업비용은 학생들의 또 다른 고민거리다. /사진=서울경제DB

서울 4년제 대학에 다니는 강윤석(26ㆍ가명)씨는 교양과목을 몇 개 들었다가 한 학기를 더 다녀야 할 판이다. 학교가 정한 커리큘럼에 따르지 않았기 때문이다. 강씨는 "예전보다 학기당 들을 수 있는 학점이 줄었고 계절학기도 없어 결국 9번째 학기를 신청했다"고 말했다. 이 학교의 경우 글로벌 경영전공을 신설하면서 기존 학생을 대상으로 한 수업을 줄였다. 강씨처럼 교양과목에 '한눈을 팔면' 졸업에 애를 먹는 이유다.

기업들은 대학이 제대로 된 인재를 공급하지 못한다고 쓴 소리를 한다. 반면 대학들은 졸업 후 실전에 적응할 수 있는 인재를 기르겠다고 공언한다. 하지만 정작 학생들은 '붕어빵'을 강요하는 대학과 기업이 오히려 인재양성을 가로막는다며 분통을 터뜨린다.


◇창의성 가로막는 대학=학생들이 대학에 갖는 가장 큰 불만은 원하는 수업을 마음껏 들을 수 없는 현실이다. 한국의 스티브 잡스를 꿈꾸며 창의력을 계발하고픈 학생들이 필수과목의 제약에 가로막히는 것. 애플을 창업한 잡스가 매킨토시를 개발한 배경에는 대학시절 교양수업이 있었다. 그는 오리건주 리드대를 중퇴했지만 그 대신 필수 수업에 대한 제약 없이 '세리프'라는 서체를 배우는 교양 수업에 천착했고 훗날 매킨토시에 처음으로 아름다운 서체를 담아 세상을 매료시켰다.

관련기사



유명 사립대 경제학과를 졸업한 뒤 올해 대기업에 입사한 송재민(28ㆍ가명)씨 역시 교양수업의 가치를 뒤늦게 느낀다. 그는 "사회에 나와보니 학교 다닐 때 배운 그리스ㆍ로마역사가 사고력과 이해력을 기르는 데 큰 도움을 준다"면서 "회계과목을 필수로 이수하는 것은 좋지만 그 때문에 다른 교양과목이 줄어든다면 창의성 인재로서의 자질은 부족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실무능력을 지나치게 강조해 전공 공부가 흔들린다는 지적도 있다. 서울 모대학 경영학과 4학년인 이진주(26)씨는 "프레젠테이션 능력이 필요하다면서 회계 과목까지 조 발표 수업을 하는데 그러다 보면 다른 조가 발표하는 몇 주를 나머지 학생들은 흘려보낸다"고 꼬집었다.

◇획일적 만능인재 요구하는 기업=기업 채용의 문제점을 지적하는 목소리도 높다. 대학생 심모(25)씨는 "기업의 채용공고를 보면 구체적으로 어떤 역량을 원하는지 모르겠다"면서 "학점ㆍ토익ㆍ컴퓨터ㆍ인턴 등 만능인재를 원하지만 정작 회사에 들어간 선배들은 대부분 단순 전산 업무를 처리한다"고 밝혔다. 그는 "어차피 창의력을 요하는 핵심 업무는 석박사나 해외에서 데려온 소수가 하고 학부 졸업자는 뒷받침만 하는 것 아니냐"며 쓴웃음을 지었다. 대기업이 채용과정에서 실시하는 인성ㆍ적성 시험에 대해 심씨는 "국어 맞춤법, 한자, 수학 등을 묻는데 직장생활에 필요해서인지 지원자를 손쉽게 거르기 위해서인지 모르겠다"고 푸념했다.

◇고시 '낭인'이 되는 학생들=결국 높은 취업문턱을 피해 공무원직 등 고시의 길로 발길을 돌리는 경우가 많지만 이 또한 경쟁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 5급 행정고시는 물론이고 7급이나 9급 역시 3년 이상을 각오해야 하는 게 요즘 세태다. 3년 전 7급 공무원 시험을 준비했다가 지금은 9급 시험을 준비 중인 진모(26)씨는 "원래는 공연 기획자를 꿈꿨지만 취업난 걱정에 이 길을 택했다"며 "하고 싶은 일도, 사회생활도 못하는 지금이 가끔 두려울 때가 있다"고 씁쓸해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