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5500억 푼다" 도시재생사업 시동

경제기반 구축·새 산업 도입 등 종로·부산·창원·영주서 추진


도시재생 선도지역인 부산과 서울 종로, 창원, 영주의 사업이 본격화된다. 도시재생 선도지역은 도시 쇠퇴가 심각하고 사업의 파급효과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국가와 지방자치단체가 재생사업을 지원하는 곳으로 지난 5월 13곳이 선정됐다.

국토교통부는 경제기반형인 부산과 근린재생형인 서울·창원·영주 4곳에 대해 총 5,529억원 규모의 사업계획을 승인했다고 12일 밝혔다. 부산이 2,952억원으로 가장 많은 사업비가 책정됐으며 이어서 창원 1,765억원, 서울 459억원, 영주 353억원 규모로 지원된다.


부산의 경우 도시재생사업을 통해 부산역-부산항 일원의 경제기반을 재구축한다. 부산역 일대에 정보통신기술(ICT), 관광, 영상 등 새로운 산업 기능을 유치하고 배후 상업·주거지역의 차이나타운 등을 활용한 도시관광 사업도 추진한다. 북항과 부산역을 연결하는 창조지식 플랫폼도 조성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서울 종로구 창신·숭인 지역은 1970년대 봉제산업 침체와 뉴타운 사업 지연에 따른 갈등으로 낙후된 환경을 주민 커뮤니티 중심으로 다시 회복시킬 계획이다. 동대문 패션상가와 연계해 봉제산업을 다시 특화시키기 위해 폐·공가를 청년 디자이너들의 작업공간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인근 한양 성곽도 마을 관광자원으로 개발한다. 창원과 영주는 각각 예술마을과 생활공예 사업을 추진한다.

국토부는 오는 2017년까지 4개 지역에 1,100억원(지방비 50%)을 지원하고 문화체육관광부와 중소기업청 등 12개 관계부처도 25개 사업에 2,215억원을 함께 지원할 계획이다. 또 신설되는 주택도시기금을 활용해 1,400억원의 민간투자사업도 진행할 예정이다.

국토부는 지난 5월 선정된 나머지 9개 지역(천안, 청주, 공주, 군산, 순천, 목포, 광주 동구, 대구 남구, 태백)에 대해서도 순차적으로 사업을 승인할 계획이다.

정병윤 국토부 국토도시실장은 "압축 성장기에는 도시 외곽에 대단위 개발이 필요했지만 이제는 도시 내부의 오래된 공간을 다시 활용하는 도시재생 중심으로 지역개발 패러다임이 변화하고 있다"며 꾸준히 지원정책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