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연방준비제도이사회(FRB)는 현지시간으로 24일 공개시장위원회(FOMC)을 열고 연방기금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예정이다. FRB의 연방기금 금리인상은 올들어 2번째. 지난 6월30일에도 0.25%포인트 올렸다. 이번에도 0.25% 인상하면 연방기금 금리는 연 5.25%가 된다.◇국내시장 파급 효과= 미 금리인상이 국내 금융시장에 미치는 충격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게 전문가들의 공통된 분석이다. 한국은행도 미 금리인상에 즉각적으로 대응해 국내금리를 올려야 할 상황은 아니라고 밝히고 있다.
한은 박철(朴哲) 부총재보는 『미 금리인상이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주느냐를 지켜보겠지만 기본적으로 국내금리인상 여부는 국내경제상황을 감안해 결정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외환은행 경제연구소 신금덕(辛金德)실장은 『미 금리인상은 국내 금리에도 영향을 주지만 이미 대우사태 등으로 국내 금리가 폭등하고 주가도 크게 조정받은 상태여서 금융시장에 큰 충격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辛실장은 그러나 금리인상으로 미국 경기가 위축되면 우리나라 수출이 줄어드는 등 실물경제면에선 장기적으로 악영향을 받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현대증권 이태석(李太石) 국제담당 이사는 『미 연준이 0.25%정도 금리를 인상한다 해도 한국금융시장에 당장 직접적 타격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인상 폭이 크지 않은데다 이미 오래전부터 예상됐던 것이어서 대부분의 경제 주체들이 이에 대비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LG경제연구원 강호병(姜鎬秉) 책임연구원도 일단 예고된 악재는 시행시점에서 이미 시장에 충분히 반영되기 마련인 만큼 국내 금융시장에는 별다른 악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예측했다.
◇미연준 통화정책 기조, 중립이냐 긴축이냐= 국제금융계가 FOMC위원회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는 것은 향후 통화정책 기조. 금리인상은 이미 기정사실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금리결정 뒤에 발표하는 통화정책 방향이 긴축인지 아니면 중립인지에 향후 세계경제의 향방이 걸렸다는 것이다.
국제금융계는 초단기 금리인상을 단행한 미 연준이 긴축으로 통화정책 방향을 잡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고 있다. 급격한 경기 하강과 부작용 때문. 미 연준이 중립적 통화정책을 택한다면 올해 예정된 10월, 11월, 12월의 정례회의에서 추가 금리인상을 단행할 가능성도 희박해진다. 연말에 다가갈수록 Y2K문제와 대선부담이 커지기 때문이다.
◇위안화 평가절하 불거질 수도= 문제는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 압력이 거세질 수 있다는 점. 지난 3년동안 고용창출과 기업 수익증진을 위해 7차례의 금리인하를 단행하며 경기부양을 도모해온 중국이 미 금리인상으로 타격을 받게 되면 위안화 평가절하를 선택할 가능성이 커진다는 것이다.
경기부양을 위해 세금환급, 정부지출확대 등 대책을 내놓았으나 실물경제에 효과가 미치지 않고 있는 중국으로서는 더 이상 금리인상 정책 기조를 유지하기 힘들게 됐다. 이제 자국 통화 평가절하 외에는 무기가 안남게 된 셈이다.
중국 정부는 위안화 평가절하를 거듭 부인하고 있으나 금리인하와 경기부양정책이 먹혀들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가능성은 커지고만 있다. 더욱이 미국과 중국의 금리차 확대로 급격한 자본유출이 발생할 경우 중국의 입지는 좁혀질 수 밖에 없는 상황이다. 중국이 평가절하를 단행하면 그 파급효과는 메가톤급으로 평가된다. 당장 국내금리 인상 압력으로 이어진다. 중국 위안화라는 매개체를 거쳐 미 금리인상의 여진이 증폭될 수 있다는 얘기다. 한국은행도 중국 위안화 평가절하에는 금리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다만 위안화 문제가 현실로 나타나려면 연말까지 시간이 걸릴 전망이다.
권홍우기자HONGW@SED.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