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日 금리인상 시기 논란

日銀 "경기 장기확장 추세등 18일에 인상 가능"<br>아베 총리등은 "디플레 해소위해 아직 동결해야"

일본에서 기준금리 추가인상 시기에 대한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12일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일본은행(BOJ)이 오는 18일 열릴 금융정책회의에서 금리를 올릴 여건이 조성됐다고 보도했다. 소비가 견조한 흐름을 보이고 있고 미국 경기둔화 가능성도 낮아지고 있어 금리인상의 장애요인이 해소된 상태라는 분석이다. 실제 일본 금융시장에서는 1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60~70%로 보고 있다. 일본은행은 기업 실적성장이 가계로 확산되는 등 경제가 장기확장 추세를 지속하고 있어 선제적 금리인상이 경기회복을 지탱하는 데 도움이 된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후쿠이 일본은행 총재도 이날 지점장 회의에 앞서 가진 기자회견에서 "경기와 물가에 근거해 통화정책을 운영할 것"이라며 "안정적인 물가를 유지하는 가운데 지속가능한 성장을 달성하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기존입장을 재확인했다. 그러나 유럽을 방문중인 오미 고지 재무상은 금리인상에 반대한다는 정부 입장을 명확히 했다. 그는 이날 런던에서 "장기적 관점에선 현재 일본의 기준금리가 낮은 것이 사실이지만 현재 경제상황이 금리를 '정상화'할 적정시기는 아니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아베 총리도 "현 디플레이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일본은행이 적절한 결정을 내리기를 기대한다"며 금리동결 요구에 동참했다. 이에 따라 금리인상 논란은 18일 금융정책회의에서 결정이 날 때까지 계속될 전망이다. 야마시타 모코토 리먼브라더스 전략가는 "오는 15일 발표될 일본의 11월 기계수주에서 일본은행의 금리결정 단서를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리인상이 늦춰지면서 엔ㆍ달러 환율은 약세를 보이며 11일(현지시간) 뉴욕 외환시장에서 120.44엔을 기록, 13개월래 최고치로 올라섰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