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천 북항 시대 막 올랐다

철재부두 1선석 이어 2선석도 다음달 준공

인천 북항 시대가 막이 올랐다. 인천 내항의 만성적인 체선ㆍ체화 해소와 비가공화물의 전이처리를 위해 지난 95년 기본계획이 수립된 후 11년 만이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5만톤급 철재부두 1선석이 3년간 공사 끝에 준공됐다고 9일 밝혔다. 안벽길이 270m인 이 부두는 동국제강이 총사업비 418억원을 투자해 건설했으며 연간 120만톤의 화물을 처리하게 된다. 부두시설은 준공 즉시 국가에 귀속되며 동국제강은 운영개시일로부터 향후 50년간 무상 사용권을 갖는다. 다음달에는 현대제철이 건설 중인 철재부두 2선석이 완공될 예정이어서 그동안 인천항 8부두(고철부두)에서 현대제철과 동국제강을 오가던 고철수송차량(하루 평균 350대) 모습도 사라지게 됐다. 이에 따라 도심환경 개선 및 교통난 해소는 물론 연간 45억원가량의 물류비용 절감효과를 가져올 것으로 기대된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은 올해 철재부두 3선석에 이어 내년도에 목재 및 잡화부두 4선석, 2008년 다목적부두 등 4선석을 연차적으로 준공할 계획이다. 인천지방해양수산청의 한 관계자는 “동국제강 철재부두 준공은 인천 북항 시대의 본격적인 개막을 알리는 신호탄”이라며 “현재 공정대로 공사가 진행될 경우 사업완료 일정에 차질이 없을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한편 인천 북항은 모두 17개 선석 규모로 오는 2011년까지 건설될 계획이며 마지막 17번째 잡화부두인 삼표부두도 다음달 착공에 들어갈 예정이다. 사업비는 정부투자 4,861억원, 민자 4,298억원 등 모두 9,165억원이 투입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