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IT

외국산 휴대폰·태블릿PC·노트북도 내년부터 전자파 측정값 공개

아이폰, 블랙베리 등 외국산 휴대폰의 전자파 측정값도 내년부터 인터넷으로 공개되고 측정 대상에 휴대폰 외에 태블릿PCㆍ노트북 등도 포함될 것으로 전망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전자파에 대한 막연한 불안감을 줄이고 관련 정보의 투명성을 높이기 위해 '전자파 종합대책' 초안을 마련했다고 18일 밝혔다. 이 안에 따르면 내년부터 모든 휴대폰의 전자파 흡수율(SAR)이 방통위 산하 전파연구소 홈페이지에 공개된다. 현재도 각 휴대폰 제조사 홈페이지에 전자파 흡수율을 기재하도록 고시하고 있지만 의무가 아닌 권고사항이어서 국내 제조사들만 지키고 있는 형편이다. 방통위 측은 현재도 외국산 휴대폰이 국내에 들어오려면 전파연구소에 전자파 측정값 등 신고사항들을 제출해야 하기 때문에 외국산의 측정결과 공개에 문제가 없다고 설명했다. 우리나라 전자파흡수율 기준치는 미국ㆍ캐나다와 같은 1.6W/㎏(체질량 1㎏당 인체에 흡수되는 에너지량)으로 이를 넘는 제품은 판매를 금지하고 있다. 방통위는 또 휴대폰만으로 한정돼 있는 전자파 측정 대상기기를 태블릿PCㆍ노트북 등 인체에 근접한 무선기기로 확대하고 영향을 미치는 신체부위도 기존 머리에서 몸통과 팔다리 등으로 넓히기로 했다. 전자파로 인한 다른 기기의 오작동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 시험·인증 제도인 전자파적합성 평가 대상도 기존 주파수 1㎓에서 6㎓ 대역으로 강화하고 전자파 발생기기가 모여 있는 복합설비도 인증 대상에 포함시키는 전자파 엔지니어링 제도를 오는 2014년 도입할 계획이다. 또 전자파 영향에 대한 대국민 홍보 및 이해 관계자 갈등조정 등을 전담하도록 하기 위해 내년에 '한국전자파문화재단(가칭)'을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하기로 했다. 최우혁 방통위 전파기반팀장은 "전자파의 실태를 투명하게 공개하고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 전자파문화재단에 휴대폰 제조사 등 민간 사업자 재원을 끌어들이는 것은 현재 검토하지 않고 있다"고 말했다. 방통위는 이날 오후 서울 양재동 서울교육문화회관에서 열린 전자파 종합대책 마련을 위한 공청회를 열고 이 자리에서 제기된 의견을 반영해 올 3·4분기 내 전자파 종합대책을 확정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