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 금융

[심층진단] 기로에 선 '프리코스악' 제3시장

[심층진단] 기로에 선 '프리코스닥' 제3시장 절반이 거래 전무…시장기능 상실 주식투자자 A씨는 3시장만 생각하면 부아가 치밀어오른다. 꼭 사기당한 느낌이 들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작년초 3시장이 황금알을 낳는 제2의 코스닥시장이 될 거라고 얼마나 요란을 떨었어요. 하지만 지금 3시장은 시장도 아니예요. 한마디로 버림받은 시장입니다." A씨는 인터넷공모를 하는 3시장 예정기업들에게 투자했다 1억원 가까운 손실을 봤다. 그 가운데 2,000만원을 투자한 한 기업은 아예 영업중단으로 매매정지상태다. 하루 거래대금 2억~3억원. 시가총액대비 매매비중 0.1%. 절반 가까운 종목들이 거래가 안되는 시장. 바로 3시장의 현재 모습이다. 지난해 3월 27일 이 시장이 제2의 코스닥시장으로 투자자들의 관심을 한몸에 받았었다면 과연 믿을 수 있을까. 이렇게 3시장이 급전직하한 가장 큰 이유는 천형처럼 떠안은 태생적 한계 탓이다. 전문가들은 3시장 침체의 이유로 경쟁매매가 아닌 상대매매와 양도세 부과, 구조적인 정보부족, 그리고 공시미흡 등 엉성한 시장제도 등을 꼽는다. 유승완 코스닥증권시장 3시장팀장은 "3시장이 활성화되지 못하고 있는 것은 이 같은 불리한 제도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런 이유로 시장관계자와 지정기업, 투자자들은 정부에 제도개선을 줄기차게 요구해왔다. 그러나 정부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했다. 정부의 방치가 계속되자 결국 증권사ㆍ투자자ㆍ기업들이 3시장을 떠나거나 외면해버렸다. 투자자들 사이에서 "차라리 만들지 말았어야 했다"는 목소리까지 나오고 있는 실정이다. 전문가들은 이제라도 늦지 않았다고 보고 있다. 정규 주식시장으로 만들지 못한다 해도 운영의 묘를 잘 살린다면 3시장이 프리코스닥시장으로서 내실있는 성장을 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3시장을 이대로 둬서는 안된다는 공감대도 형성되고 있다. 오호수 증권업협회장은 "단계적인 과정을 거쳐 합리적인 운영시스템이 구축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며 "이를 위해 활성화방안을 관계기관과 긴밀하게 협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루 거래대금 3억원의 미니시장 지난 4월 코스닥증권시장이 조사한 '3시장 1주년 결산자료'에 따르면 1년간 일평균 거래대금은 4억원에 불과하다. 이는 이 기간동안 시가총액의 0.1%밖에 되지 않는다. 또 주식시장의 기본기능인 자금조달역할 역시 제대로 못했다. 3자배정을 제외한 주주배정방식 유상증자는 겨우 260억원에 머물렀다. 기관과 외국인들은 아예 3시장 투자를 안한다. 특히 외국인은 거래가 전혀 없다가 지난해 3월 매수 200만원과 매도 300만원을 기록했을 뿐이다. 코스닥시장 약세와 벤처거품 해소 영향도 있긴 하나 3시장 신규지정기업수도 급감했다. 지난해 8월까지 매달 10개이상 들어왔으나 이후 크게 줄어 지난 4월에는 1개에 그쳤다. 다행히 이달 들어 29일 현재 8개사가 신규지정, 증가기미를 보이고 있다. ◇이상매매ㆍ불공정거래 만연 3시장은 특히 이상매매가 판을 쳐 투자자들을 울리고 있다. 지난해 4월 19일 코리아인터넷정보통신은 당일 최고가와 최저가가 1만배나 벌어졌다. 또 4월28일에는 이니시스 2,000주가 10원에 매매됐다. 이니시스의 이날 가중평균가는 3,390원이었다. 이 같은 이상매매는 지금도 여전하다. 경쟁매매가 아닌 상대매매인 제도의 헛점을 악용, 투자자의 실수를 노려 초저가ㆍ초고가 주문을 깔아놓고 있는 것이다. 특히 서로 짜고 턱없이 높은 값으로 통정매매해 주가(가중평균가)를 끌어올리는 일이 비일비재하다. ◇투자자ㆍ기업ㆍ증권사 모두 외면 사정이 이렇자 투자자들이 먼저 등을 돌렸다. 이어 3시장 진입을 저울질하던 유망 장외기업들도 3시장을 외면했다. 강원랜드ㆍ삼성SDSㆍ유니텔 등 장외 대표기업들은 물론 안철수연구소 등 우수 벤처기업들은 금융감독원ㆍ증권업협회로부터 3시장 진입을 강력히 권유받았지만 단호히 거부했다. 결국 투자자와 기업이 고개를 돌린 3시장에서 먹을 게 없다고 판단한 LG증권ㆍ교보증권 등 증권사들은 애써 만들었던 3시장팀을 해체하고 분석업무를 중단해버렸다. ◇앞으로의 전망은 더욱 불투명 그러나 여전히 정부는 요지부동이다. 재정경제부 증권제도과 김태현 서기관은 그동안 제도개선을 해달라는 3시장 투자들로부터 온갖 비난을 들으며 고초 아닌 고초를 겪은 인물이다. 하지만 김 서기관은 "3시장은 시장이 아니다"라는 말만 반복할 뿐이다. 당초 3시장은 언론이 붙인 말일뿐 '장외시장 호가중개시스템'이며 3시장 매매는 사인간의 거래일 뿐이라는 것이다. 이에 반해 금융감독원의 생각은 다소 전향적이다. 자본시장감독국 관계자는 "최우선호가 제도도입 등 개선방안을 만들어 재경부에 올렸다"며 "시행여부는 재경부가 할 일"이라고 말했다. 결국 정부는 3시장을 또다른 정규시장으로 만들 경우 주식시장이 과도한 물량 부담때문에 수급균형이 깨지기 쉽고, 코스닥시장이 위축되는 부작용을 크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그렇지만 현 체제의 골격을 유지하면서 가능한 범위내에서 제도개선을 하고 운영의 묘를 살릴 수 있음에도 그대로 3시장을 방치하고 있는 것은 직무유기 아니냐는 지적이 높은게 사실이다. 이규진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