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내가 준비된 후보" 이미지 심기 주력

민주 후보 첫 TV토론<br>金 "모병제 시대흐름 맞아"<br>丁 "국가서 소형주택 매입"<br>文 "비정규직 절반 낮출것"<br>孫 "새로운 일자리 확대"

민주통합당 대선 주자인 정세균(왼쪽부터), 김두관, 손학규, 문재인 후보가 23일 오후 서울 여의도 MBC에서 열린 방송 3사 합동토론회에 앞서 기념촬영 시간을 갖고 있다. /오대근기자

민주통합당 대선 예비후보들은 23일 열린 첫 TV토론회를 시작으로 한 달여간 진행될 본경선을 시작했다.

이날 오후 KBSㆍMBCㆍSBS 등 지상파 방송 3사가 동시 중계한 TV토론회는 기존 방식에서 벗어나 방청객 및 패널들의 공격적인 질문에 민주통합당 후보가 답변하는 형식을 도입했다. 민주통합당 후보들은 예상을 훌쩍 뛰어넘는 날선 공격에 비교적 침착하게 대응하면서 '준비된 후보로서의 이미지' 알리기에 주력했다.


방청객ㆍ패널 질문의 첫 답변자로 나선 김두관 후보는 최근 자신이 내놓은 모병제에 대해 '선거에서의 이슈 몰이를 위해 실현 불가능한 제도 도입을 공약한 것 아니냐'는 질문을 받았다. 이에 대해 김 후보는 "(모병제가) 지금 인터넷에 뜨거운 논란이고 오히려 70% 정도가 반대하지만 국가지도자는 미래를 내다보며 국민을 설득해나가야 한다"며 "모병제의 전환은 현대전의 흐름에 맞는 제도"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정세균 후보가 내놓은 '가계부채에 관한 국가 지원' 공약에 대해서도 패널들의 날카로운 질문이 나왔다. 정 후보는 "지금 가계부채가 국가위기로 전이될 우려가 높다"며 "가계부채의 40%가 부동산 때문인데 이를 위해 국가가 소형주택을 먼저 매입해 임대를 해주자는 것으로 마냥 수혜를 베푸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문재인 후보에게는 '참여정부에서 늘어난 비정규직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이냐'는 질문이 나왔다. 문 후보는 "참여정부 때 비정규직ㆍ양극화 문제를 충분히 대처하지 못한 것이 아쉽고 송구스럽다"며 "공공 부문의 정규직 전환을 시작으로 다음 정부 기간까지 비정규직 비율을 절반으로 낮춰나가겠다"고 답했다.

손학규 후보의 '저녁이 있는 삶' 구호에 대해서도 "현실과 거리가 먼 얘기를 하고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나왔다. 손 후보는 "저녁이 있는 삶이라는 구호는 저녁이 없어도 좋으니 일자리를 달라는 호소가 반영돼 있다"며 "성장동력을 만들어 새로운 일자리를 늘려나가겠다"고 말했다.

이날 TV토론회를 시작으로 민주통합당 본경선이 본격적인 일정을 시작했다. 민주통합당은 25일 제주 첫 경선을 시작으로 전국 13개 지역을 돌며 순회경선에 나서며 다음달 16일 1위 후보를 선출한다. 만약 1위 후보가 과반수 득표를 하지 못하면 2위 후보와 함께 결선투표를 진행, 23일 최종 후보를 선출한다.

유병온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