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전국

행복청, 폐기물 자원화에 성공

5개월간 8억원 경제효과 창출

행복청의 폐기물관리시스템이 폐기물 자원화의 롤모델로 각광을 받고 있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행복도시에서 발생하는 폐기물을 이용해 고형연료 및 바이오가스를 생산, 5개월간 8억 원의 경제효과를 창출했다고 24일 밝혔다.

행복청에 따르면 정부세종청사 1단계와 첫마을아파트 입주가 완료된 올해 1월부터 5월까지 폐기물연료화시설에 가연성 생활폐기물 1,684톤을 반입해 고형연료(SRF) 606톤을 생산, 폐기물매립장에 매립 처분해야 할 폐기물 36%를 연료화했다.


이 고형연료(SRF)는 톤당 4만 1,000원에 판매돼 폐기물매립장 조성비 절감 뿐만 아니라 총 2,485만 원의 판매수익까지 올렸다.

관련기사



또한 크린에너지센터는 최근 5개월간 자동크린넷에서 수거된 음식물쓰레기(833㎥)와 하수처리장 슬러지(4,165㎥)를 혼합해 15만 4,230㎥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했다.

이처럼 음식폐기물을 연료화해 음식폐기물과 하수 슬러지 위탁처리비 7억여 원을 절감한 데다 7,500만 원 상당의 메탄가스를 생산, 총 7억 7,000여만 원의 경제적 효과를 거뒀다.

행복청은 행복도시가 완성되는 오는 2030년에는 폐기물배출량이 늘어남에 따라 1일 130톤의 고형연료와 5,448㎥의 바이오가스를 생산해 연간 29억 원 정도의 수익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손윤선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 녹색도시환경과장은 “아무리 좋은 시설이라도 재활용이 가능한 자원이 폐기물로 버려지고 가연성 페기물이 음식물 폐기물과 분리 배출되지 않는다면 결국 무용지물”이라면서 “좋은 첨단시설들이 어떻게 활용되고 폐기물이 얼마나 자원화 될 지는 행복도시 입주민들의 역할”이라고 말했다.


박희윤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