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파업 경제적피해 확산

정부, 협상추이보며 공권력 조기투입 모색 >>관련기사 철도와 발전 등 공공노조의 파업에 대해 민주노총 산하 일부 민간기업도 동조파업에 나서면서 물류손실이 급증하는 등 경제적 피해가 증폭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노사간 협상추이를 지켜보되 파업이 장기화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파업지도부가 농성 중인 명동성당과 서울대ㆍ건국대 등에 공권력을 조기 투입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민주노총은 26일 오후1시부터 오후4시까지 현대자동차와 기아ㆍ쌍용자동차 등 완성차 3사를 비롯한 전국 100여개 사업장에서 5만여명이 참여하는 연대파업을 벌였다. 민주노총의 이번 연대파업에는 두산중공업과 삼호중공업ㆍ현대미포조선ㆍ대우자동차판매ㆍ한국철도차량 등 다수의 대규모 사업장이 참여, 부분적인 생산차질을 초래했다. 철도와 발전노조의 이틀째 파업으로 경제활동 차질과 시민불편도 계속되고 있다. 이날 열차는 전동차 67.4%, 새마을호 20.5%, 무궁화호 25.8%, 통일호 50%, 화물 15.7% 등 전체의 31.5%만 정상 운행됐다. 수도권 전동차는 경수선이 평소의 46.2%인 146회만 운행됐고 경인선 237회(37.6%), 경원선 108회(68.8%), 안산ㆍ과천선 270회(86.5%), 일산선은 252회(92%)에 그쳐 시민들의 불편이 이어졌다. 화물열차도 평일 434회 가운데 임시편 증편분을 포함, 68회만 운행돼 긴급을 요하는 수출입 컨테이너 2,300TEU(20피트 컨테이너 1개) 물량 중 300TEU만 열차로 수송되고 나머지는 도로를 이용했다. 이에 앞서 노사는 오전부터 파업을 끝내기 위한 교섭을 재개했으나 노정, 노사간 힘겨루기로 진통을 겪었다. 이남순 한국노총 위원장과 손학래 철도청장은 이날 오전과 오후 노사정위회의실에서 특별교섭을 재개해 철도파업의 핵심쟁점인 해고자 복직 방안에 대해 협의했으나 타협점을 찾지 못했다. 발전노조의 교섭권을 위임받은 공공연맹도 이날 오전 회사측과 실무교섭을 재개했으나 전임자수와 고용안정 방안 등에 대한 이견이 해소되지 않아 정회를 거듭했다. 오철수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