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채용 때 출신학교·가족관계 안봐

서울시 산하 공공기관 17곳

올해부터 서울메트로 등 서울시 산하 공공기관의 신규 채용 이력서에는 출신학교나 가족관계 등 항목이 빠진다. 서울시가 뽑는 기술9급 공무원 특정기술직 가운데 30%는 특성화ㆍ마이스터고 학교장 추천으로 선발한다.

서울시가 청년 실업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일자리 발굴을 위한 '2013 청년일자리 종합계획'을 19일 발표했다.

시는 출신학교ㆍ신체조건ㆍ가족관계ㆍ결혼여부 등 직무와 관련성이 적은 요소를 뺀 표준이력서를 만들어 올해부터 17개 산하 공공기관 채용 시 적용한다.


시는 고졸 청년 취업 기회 확대를 위해 기술9급의 특정기술직 신규채용 인원의 30%를 특성화·마이스터고 학교장의 추천을 받아 뽑기로 했으며 고졸자를 인턴으로 특별채용하는 민간기업에는 2년간 최대 660만원을 지급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시는 청년들이 사회에서 올바른 대우를 받을 수 있도록 노동현장에서 청년이 차별 받지 않아야 한다는 내용의 '청년 일자리 권리선언'을 다음 달 발표하고 8월에는 '서울시 청년일자리 기본조례'를 제정해 청년일자리 정책을 추진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만들 방침이다. 기본조례에는 청년 고용 촉진과 지원ㆍ청년 일자리 허브 설치와 운영ㆍ노동권리 교육 시행 등의 내용이 담긴다.

시는 또 청년 100인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발족시켜 노동ㆍ복지ㆍ문화ㆍ주거ㆍ창업 등 분야에서 청년들의 실질적인 목소리를 들어 정책에 반영시킬 방침이다.

이밖에 ▲청년 인턴 직업역량 향상 교육프로그램 마련 ▲청년 아르바이트 실태 조사 ▲서울청년 2020 마스터플랜 수립 등도 종합계획에 포함됐다.

장혁재 서울시 고용노동정책관은 "청년들이 좋은 일자리에서 자기실현의 기회를 많이 가질 수 있는 정책을 만들기 위해 최대한 청년의 목소리를 담아내겠다"고 말했다.


임진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