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지난 1월 고용사정이 예상을 뛰어넘는 상승세를 보이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전 수준에 가까워졌다. 미국의 경기회복세를 뒷받침하는 것으로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논쟁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미 노동부는 6일 발표한 1월 고용보고서에서 비농업 부문 신규 취업자 수가 25만7,000명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블룸버그통신이 시장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집계한 전망치 평균인 22만8,000명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1994년 이후 처음으로 12개월 연속 신규 취업자 수가 20만명을 넘기면서 확연한 고용시장 회복세를 이어가게 됐다.
업종별로 보면 소매업 신규 취업자가 4만6,000명이었으며 제조업 2만2,000명, 건설업 3만9,000명이었다.
함께 발표된 1월 실업률은 전월 대비 0.1%포인트 증가한 5.7%를 기록했다. 전월과 같은 5.6%를 예상했던 시장 전문가들의 전망치보다 조금 높다. 이 같은 수치에 대해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미국 고용시장과 경기 회복세가 완연해지면서 많은 장기 실업자들이 고용시장의 문을 두드리기 시작한 결과"라며 가계 전반에 경기회복에 대한 자신감이 퍼졌다는 신호라고 해석했다.
시간당 평균 임금도 전년 대비 2.2% 올랐다. 이는 최근의 저유가 기조와 맞물려 미국 내 소비증대로 이어지며 경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밀란 멀레인 TD증권 부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 같은 고용사정은 유로존(유로화 사용 19개국), 중국 등 다른 경제권의 상황을 고려하면 매우 고무적"이라며 "최근 이어진 미국 내 소비지출 증가가 미국 경기를 지탱할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저유가로 야기된 석유업계의 투자축소에 따른 고용축소 우려도 전체적인 고용사정에 미친 영향은 크지 않았던 것으로 풀이된다.
이처럼 고용시장이 회복세를 이어가는 것으로 나타남에 따라 연준의 금리 인상 논쟁에 어떤 영향을 끼칠지도 관심사다. 파이낸셜타임스(FT)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올려야 한다는 주장이 연준 내에서 다소 커질 것"이라고 전했다. 시장에서는 최근의 달러화 강세로 인한 무역적자 증가 및 기업실적 악영향 등으로 연준이 적어도 올 하반기 이후 기준금리를 올릴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