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강남권 일시적 거래위축 재현

열린우리당의 총선 압승 이후 서울 강남권 부동산 시장에 긴장감이 흐르고 있다. 투기수요가 몰리는 지역에 대한 선별적 규제책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됨에 따라 일시적인 거래위축현상이 재현되고 있다. 18일 부동산중개업계에 따르면 지난 한달여간 조금씩 회복세를 보이던 서울 강남ㆍ서초ㆍ송파구 일대 재건축아파트 매수세가 ‘4ㆍ15 총선’을 전후로 일시적인 공백현상을 보이고 있다. 서초구 반포지구내 주요 재건축 단지만 해도 이명박 서울시장의 ‘재건축가구수 10% 증가 발언’이후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지난 한달새 매매가격이 3,000만~4,000만원 가량 뛰었지만, 이번 총선을 전후로 갑자가 매수 문의가 사라졌다. 송파구 잠실지구도 잠실주공1단지의 일반분양가격이 높게 책 정돼 재건축조합원분양권을 매입해도 시세차익을 얻을 수 있다는 기대감으 로 이 달 들어서만 해도 값이 1,000만~1,500만원 상승했지만 지난 주부터매기가 끊겨 호가상승에 제동이 걸렸다. 이는 강남구 개포지구와 강동구 고덕ㆍ둔촌지구 등에서도 마찬가지라는 게 해당 지역 부동산 중개업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토지시장도 상황은 비슷하다. 연내에 강일ㆍ발산ㆍ상계ㆍ장지지구와 은평뉴타운 등에서 2조원 대에 달하는 택지수용보상금이 쏟아지게 됨에 따라 인근의 송파구 문정지구와 서초구 우면동, 강남구 세곡동 일대 토지시장으 로 투자수요가 유입되기 시작했지만 총선을 전후로 해당 부동산중개업소에 는 투자자들의 상담건수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 이는 정국이 ‘여대야소’ 체제로 재편성됨에 따라 강남권 등 투기과열이우려되는 지역을 중심으로 선별적 규제책을 펴겠다는 정부의 정책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기 때문이다. 박산언 내집마련정보사 재테크 팀장은 “열린우리당의 총선 압승은 일단 부동산투자자에게는 악재로 해석된다”며 “향후 부동산거래시장은 토지거래허가제 강화와 재건축개발이익 환수제 시행 등의 규제적용 여부에 따라 더욱 양극화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민병권기자 newsroom@sed.co.kr <저작권자ⓒ 한국i닷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관련기사



민병권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