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중국 신종AI 공포 남의 일 아니다

중국이 신종 조류인플루엔자(AI) 공포에 빠져들었다. 지난달 말 감염사실과 사망자 발생이 처음 알려진 뒤 하루가 멀다 하고 발생지역이 넓어지고 환자와 사망자도 늘어나고 있다. 지금까지 16명의 확진환자가 발견돼 6명이 숨졌다. 그런데도 아직 정확한 발생원인과 전파경로조차 파악 못한 상태다. 조류만 걸리던 H7N9형 AI가 처음으로 인체에 감염됐다는 점만 알려졌을 뿐이다. 당연히 치료제도 아직은 없다.


중국 정부와 세계보건기구(WTO)는 H7N9 AI가 사람을 통해 전염되지 않는다고 발표했으나 중국에서는 각종 괴담이 흉흉하고 불신 분위기와 불안감이 확산되고 있다 한다. 신종AI의 발견이 고의적으로 지연됐을 뿐 아니라 실제 감염자와 사망자 수가 정부 발표보다 훨씬 많다는 것이다. 2003년 발생해 중국과 동남아에서 360명의 목숨을 앗아간 H7N5 AI가 10년 만에 찾아왔다는 괴소문이 정부의 감시 속에서도 온라인을 통해 유포되고 있다.

관련기사



국제사회도 숨을 죽이고 사태 추이를 주시하고 있다. 주목할 대목은 신종AI가 10년 전의 H7N5과는 분명 다르지만 오히려 더 위험할 수 있다는 경고다. 근래 들어 변형이 잦아지고 있는 AI가 전파속도가 빠른 일반독감과 결합할 경우 상상할 수 없는 피해가 발생할 것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도 제기되고 있다. 신종 바이러스가 중국 정부의 추론처럼 야생조류에서 가축으로 감염된 뒤 다시 인간에게 퍼지는 과정에서 나타난 변종이라면 새로운 변종도 가능하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도 신종AI의 위협에서 안전지대가 아니다. 지리적으로 가깝고 인적 교류와 농수산물 수출입이 활발하기에 얼마든지 전염될 우려가 크다. 중국발 신종 바이러스가 아니라도 국내에 잠복된 저병원성 AI가 언제 고병원성으로 변이할지 모를 일이다. 우선 농가의 소독지도와 세관 검역을 강화하고 늑장대처로 사태를 키우지 않으려면 관계부처 공통의 비상기구를 사전에 점검, 가동할 필요가 있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