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리와 비교되는 美선거

기자는 '박학다식'하다는 선입견을 가진 사람들로부터 '기자'라고 소개한 뒤에는 한국은 물론 전세계의 각종 현안들과 관련한 질문들을 종종 받는다. 정치 상황, 특히 우리나라 대통령 선거 결과에 대한 '예언'은 그 가운데서도 단골 메뉴다. 복잡 다단한 정치 현실에서 선거 결과에 대한 예단은 제아무리 '날고 기는' 기자라도 부담스러운 일이다. 특별히 경제 전문 기자들에게는 좀더 곤혹스러운 대목일 듯싶다. 최근 진행된 미국의 중간선거 과정을 보면 정치에 대해 '날이 둔한' 기자의 눈으로도 우리나라의 대선 분위기와는 너무도 다르다는 인상을 지울 수 없다. 미국 중간선거 최대의 이슈는 무엇보다 '경제'였다. 선거 전 실시된 중간조사에서 이라크, 테러 등과 같은 국내문제보다 '경제'를 잣대로 사람을 뽑겠다는 응답이 두배나 많았다. 이런 분위기는 각종 외신들에도 그대로 반영됐다. 상ㆍ하원에서 공화ㆍ민주당 중 어느 쪽이 우세할 것으로 보인다는 예측기사와 함께 미국경제의 판도가 어떻게 달라질지에 대한 시나리오들이 봇물을 이뤘다. 공화당이 승리하게 되면 부시 대통령이 밀고 있는 세금감면 계획이 통과될 가능성이 커 경기회복에 긍정적인 효과를 줄 것이라는 주장도 있었고 또 민주당이 승리하면 중ㆍ저소득 생활자를 위한 정책들이 힘을 받게 될 것이라는 이야기도 나왔다. 어느 당이 승리하면 어떤 기업들이 수혜를 입게 될 것이라는 산업별 전망기사도 빠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언론이나 주위의 지인들을 통해 접해 본 우리나라 대선 후보에 대한 선호 또는 반감 이유는 특정 지역 출신이라서, 외모가 별로라서, 말투가 어찌어찌해서 등 국가 비전과는 거리가 한참 먼 이야기가 대부분. 어느 정당이 정권을 잡으면 특정 산업이 발전하게 될 것이라던가 경제정책이 어떠한 방향으로 갈 것이라는 분석은 주위로부터 들어본 바가 별로 없다. 우리나라 유권자들이 미국과 달리 경제문제를 등한시하기 때문일까. 아니면 각 후보들이 뚜렷한 노선을 정하고 상세한 경제 청사진을 제시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날카롭게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기자의 어설픈 정치적 시각 때문일까.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지는 오늘은 미국 정당이 '정책'으로 유권자들의 심판을 받은 날이다. 윤혜?b<국제부>기자 document.write(ad_script1); ▲Top | | || |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