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기업환경개선 서둘러야

기업환경개선 서둘러야 [이제는 경제다] 4. 취약한 경쟁력 “구조조정은 최종 목표가 될 수 없다. 정부의 경제정책은 구조조정이 아니라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목표로 삼아야 한다.” 기업인들이 하는 말이다. 요즘 기업경영자나 임원들은 “스스로의 판단에 따라 기업가치를 키울 수 있도록 새로운 사업을 발굴해야 하는데도 걸핏하면 ‘문어발’운운하는 상황에서 진정한 경쟁력 강화를 기대할 수 있겠느냐”고 반문한다. 정부는 지난 98년 출범과 함께 경제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기업·금융·공공·노동 등 4대부문의 구조개혁을 추진해 왔다. 여기서 구조조정이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처럼 비쳐지기도 했다. 그나마 이같은 구조조정노력도 미로속을 헤매면서 우리 경제의 성장여력을 고갈시킨다는 비난이 끊임없이 이어진다. 이와관련, 재계는 지금처럼 정부가 구조조정에만 매달리는 것처럼 인식되는 한 기업이나 산업의 경쟁력 제고는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구조조정을 통해 한계기업을 정리하는 작업도 필요하지만 새로운 성장기회를 찾아 전력투구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하는 것도 절실하다는 것. 재계는 기업의 경쟁력 강화를 위해 금융시장의 조속한 안정화 및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보 등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김석중(金奭中)전경련 상무는 “정부가 시한을 못박아 금융 및 기업구조조정을 다그치는 상황에서 적극적인 설비 및 연구개발투자에 나설 기업이 과연 얼마나 되겠느냐”고 반문했다. 金상무는 “정부는 하루빨리 금융환경의 개선, 노동시장의 유연성 제고 등을 통해 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며 “정부와 재계가 서로 머리를 맞대고 국가경쟁력강화위원회를 통해 이같은 문제들을 논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엄기웅(嚴基雄)대한상의 상무는 “지금 당장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확보하는 것이 어렵다면 정부·노동계·재계 등이 사회적 계약을 통해 실업은 줄이되 임금상승은 억제하는 방향을 검토할 수 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같은 환경 개선이 이뤄지면 기업 나아가 산업의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다는게 재계의 입장. 지난 99년부터 제조업 전체 설비투자에서 자동차·철강·화학 등이 차지하는 비중은 10%내외 수준으로 떨어진 반면 반도체 등 전자부품 분야의 비중은 50%를 넘어섰다. 첨단분야의 경쟁력 확보를 위한 여건이 조성되고 있다는 것. 또 철강·조선 등 전통적인 제조분야에서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고 말한다. “기업만큼 이익창출 기회에 민감한 조직은 없다. 정부가 경영환경 및 여건 개선에 주력한다면 기업의 경쟁력 제고는 얼마든지 가능하다.”“경쟁력 강화를 위해 지배구조 개선 등 경영투명성 확보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면서 기업인들이 강조하는 말이다. 정문재기자 입력시간 2000/10/18 17:18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