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강남, 주택대출관리 대폭 강화

은행들이 담보대출의 한도를 축소하는 등 주택대출관리를 한층 강화하고 나섰다. 12일 금융계에 따르면 조흥은행은 5단계(A~E)의 주택담보대출 고객중 신용등급 중 D등급 이하 고객에 대해서는 투기과열지구(투기지역포함)의 아파트의 경우 매매하한가의 45~50%에서 40~45%로 대출한도를 5% 포인트 낮춰 지난 8일부터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와 함께 투기과열지구 외 지역의 아파트는 매매하한가의 55~60%에서 50~55%로 낮췄다. 국민은행도 주택담보 대출금리를 대폭 인상하기로 하고 이번주 중 강남 지역부터 우선적으로 적용하기로 했다. 국민은행은 주택담보 대출시 개인의 빚 상환 능력을 따져 부채비율(대출총액/연소득)이 200%를 넘거나 소득증빙 자료를 내지않는 고객에 대해 대출금리를 연1% 포인트 이상 할증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민은행은 지난해 11월부터 부채비율이 250%이거나 소득증빙 자료를 내지 않을 경우 0.25% 포인트를 올려 받고 있으나, 부채비율 기준을 200%로 낮출 경우 담보대출고객의 상당수가 이에 해당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국민은행은 일단 부동산 값이 치솟고 있는 강남지역 등 정부가 투기과열지구로 지정한 지역에 한해 이번주부터 대출금리를 올린 뒤 대상 지역을 점차 늘려 나간다는 방침이다. 국민은행의 고위 관계자는 “당국이 금리 인상에 부담을 느끼고 있는 만큼 선도은행이 먼저 금리를 올려 부동산 가격 안정에 기여하기로 하고 이번주 초에 구체적 시행안을 마련할 방침”이라고 밝히고 “모든 고객에게 한꺼번에 적용하기는 어려우므로 상환 능력 유무를 따져 대출금리를 올리겠다”고 말했다. 시중은행들은 현재 45~50%인 담보인정비율(LTV)을 40%로 낮춰 가계대출을 제한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정부가 연일 부동산 투기를 억제하겠다는 의지를 보임에 따라 향후 부동산 가격급락에 따른 대출부실화 가능성을 예의주시 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대출자의 상환능력 등 신용평가를 한층 강화하는 추세”라고 밝혔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이진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