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증언 요지/“정씨 3년간 950억 현금화”(한보 청문회)

◎작년 떡값 명목 「상사」에 36억원 대여/한보 여신 과다 주거래은행 변경 지시국회 한보국정조사특위는 8일 서울구치소에서 손홍균 전 서울은행장과 김종국 전 한보재정본부장을 증인으로 출석시킨 가운데 한보사태 진상규명을 위한 이틀째 청문회를 열었다. 다음은 일문일답 요지. ­이상수 의원(국민회의)=정총회장이 현금화하라고 준 돈이 한달에 얼마 가량 되나. ▲검찰에서 94년 2백억원, 95년 4백억원, 96년 3백50억원 등 총 9백50억원 정도 된다고 진술했다. ­이의원=전환사채 발행액이 2천4백70억원 가량 된다. 전환사채는 누가 보유하고 있나. ▲정총회장이 직접 관리해 모르겠다. 1백억원은 제일은행에 들어갔다. ­이인구 의원(자민련)=정총회장이 한번에 3억원, 10억원씩 돈세탁을 해 현금으로 바꿔오라고 해 피가 마르고 은행에 죄인이 된 심정이었다고 진술했다는데. ▲표현은 좀 다르지만 그런 내용이었다. ­이의원=정태수 조카딸 방에 있던 금고는 얼마나 큰 금고인가. 꽉 채우면 10억원이상 들어가나. ▲용량은 모르지만 상당히 크다. ­이사철 의원(신한국)=정총회장이 은행장들을 직접 상대했나. ▲그렇다. ­이의원=검찰조사에 따르면 1억5천만원 정도의 로비자금을 착복했다고 하던데. ▲1원 한푼 착복한 것 없다. ­이의원=다수의 신한국당의원과 김상현 국민회의의원 등에게 돈을 건넸고 특히 김덕룡 의원에게 직접 5천만원이 든 가방을 건네줬다는 보도가 있는데. ▲대답 못하는 것을 양해해 달라. ­이의원=확인을 못하겠다는 얘긴가 그런 사실이 없다는 얘긴가. ▲확인하지 못하겠다. ­이규정 의원(민주)=리스트를 부인하는 것은 증인도 중간에서 돈을 착복했기 때문 아닌가. ▲그럴는지도 모른다. ­이의원=로비대상자 선정과정에 참여하거나 일정한 재량권을 갖고 있었나. ▲모른다. 보고나 결재 없이 한 푼의 돈도 사용할 수 없었다. ­박주천 의원(신한국)=김덕룡 박종웅 김정수 박성범 의원, 문정수 부산시장에게 각 5천만원씩 전달했다고 검찰에서 진술했나. ▲확인할 수 없다. ­박의원=확인 못하는 이유가 뭔가. ▲정확한 내용도 모르고 정총회장이 말해야 할 내용인 것 같다. ­박의원=김현철, 박태중씨를 만나거나 전화한 적 있나. ▲없다. ­김경재 의원(국민회의)=정태수씨가 돈을 빼먹은 직원이 있다고 했는데 증인을 겨냥한 것 아닌가. ▲억울하다. ­김의원=정총회장을 만나면 항의할 건가. ▲그렇다. ­이양희 의원(자민련)=정태수씨의 도움을 받아 거액을 빼돌렸는데 주로 개인재산 증식분이었나. ▲지시에 따라 움직이다보니 결과적으로 그렇게 됐다. ­이의원=회사와 무관한 개인재산인가. ▲그렇다. ­김학원 의원(신한국)=4천억원의 행방이 묘연한데 어디에 사용됐나. ▲부도전 (주)한보 등 계열사에 매월 4백억∼5백억원의 적자가 발생하고 있었다. ­김의원=세양선박과 대동조선을 인수한 2백60억원은 어디서 생겼나. ▲한보상사 대여형식으로 대출됐으며 나중에 다시 회사로 돌아왔다. ­김민석 의원(국민회의)=한보직원들 말로는 증인이 비자금 조성을 주도했다고 하는데. ▲그렇지 않다. ­김의원=정총회장이 직접 다 했다는 얘긴가. ▲그렇다. ­박헌기 의원(신한국)=한보철강과 (주)한보로부터 현찰로 마련한 돈이 1천88억원이라고 검찰에서 진술했나. ▲그렇게 진술한 것으로 기억한다. ­이국헌 의원(신한국)=지난해 추석 떡값으로 36억5천만원을 인출했나. ▲그무렵 한보상사에 36억5천만원가량 대여했다. ­이의원=36억5천만원의 현금을 마대자루에 넣어 정총회장에게 건네줬나. ▲직원들이 한다. 사장이 그런 일 안한다. ­김원길 의원(국민회의)=94년말 한보철강의 주거래은행이 서울신탁은행에서 제일은행으로 바뀐 경위는. ▲94년 2월 은행장에 취임할 당시 서울은행은 자금면에서 아주 어려운 처지였다. 한보의 여신잔액이 2천1백억원 전후인데다 94년도에 공장을 새로 짓고 있어 감당 못할 것같아 주거래은행을 다른 은행으로 옮기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다. ­김의원=재임중 2년여동안 한보 대출금 규모를 3백억원 이상 줄였는데 한보를 도와주라는 외압이 없었나. ▲없었다. ­김문수 의원(신한국)=95년 5월 한보의 주거래은행이 제일은행으로 바뀌는 과정에 외압은 없었나. ▲은행감독원과 은행들간에 협의를 통해 조정했을 뿐 외압은 없었다. ­김경재 의원(국민회의)=94년 3월 서울은행은 문책을, 은행장은 경고조치를 받은 적이 있는데 은감원의 말을 듣지 않아 문책당한 것 아닌가. ▲대답없음. ­이국헌 의원(신한국)=한보 대출과정에서 나타난 금융제도의 문제점에 대해 생각해 봤나. ▲일반 시중은행의 경우 대형 시설프로젝트(사업성)에 대해 정확하게 판단할 기구가 없다고 봐도 과언이 아니다. 은행들간의 공동 전문판단기관이 필요하다고 본다.<정리=임웅재>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