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3대 취약계층 인터넷 이용률 상승

장애인·저소득층·농어민, 약 6%p씩 높아져

정보화 취약 계층 가구의 인터넷 이용률과 컴퓨터 보유율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보통신부와 한국정보문화진흥원(원장 손연기, www.kado.or.kr)은 지난해 말전국의 장애인.기초생활수급층.농어민 등 3대 취약계층 각 1천명, 총 3천명을 대상으로 `2005 정보격차 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확인됐다고 15일 밝혔다. 인터넷 이용률은 장애인 41.0%, 기초생활수급층 44.2%, 농어민 23.0%로 전년 대비 각각 6.2%p, 5.8%p, 6.1%p 증가했으며 가구별 컴퓨터 보유율도 66.2%, 53.4%, 43.6%로 전년 대비 3.9%p, 3.5%p, 7.8%p 상승했다. 정보문화진흥원은 이번 결과에 대해 취약계층 대상의 `정보화교육 사업'이나 `중고 PC 및 정보통신 보조기기 보급사업' 등 범정부적 정보격차해소 정책이 성과를거두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국민 전체의 인터넷 이용률 72.8%, 컴퓨터 보유율 78.9%과는 여전히 큰격차를 보였다. 또 인터넷 이용층을 기준으로 했을 때 10개 일상생활 영역의 인터넷 일상화율은취약계층이 24.8%로, 일반 국민(40.9%)에 비해 여전히 크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 국민의 인터넷 일상화율을 100으로 했을 때 취약계층의 일상화율은 60.6%에 해당한다. 인터넷 일상화율은 개인이 평소 일상생활에서 정보.자료 찾기, 제품 구입, 금융업무 등 10개 영역별 활동을 각 10번 한다고 가정할 때 인터넷을 통해 각 활동은 몇번 하는지를 수치화한 것이다. 이에 따라 정보문화진흥원은 정보격차해소 정책 중장기 로드맵인 `제2차 정보격차해소 종합계획(2006~2010)'을 통해 맞춤형 콘텐츠 제공 및 디지털 환경조성, 전문교육 및 e-비즈 창업 지원 사업 등 취약계층의 일상생활 정보 활용 제고 정책을 강화할 계획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