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이슈 in 마켓] 소득공제 장기펀드 출시 1년

신규 가입은커녕 가입자 이탈로 '고전'

수익률 대부분 기대 못미쳐 작년 6월 이후 감소 추세

펀드 설정액 증가폭도 둔화… "가입 소득기준 완화를"


소득공제 장기펀드(소장펀드)가 출시 1년째를 맞았지만 고전을 면하지 못하고 있다. 출시 당시 과거 재형저축의 대안으로 큰 관심을 끌었지만 최근 들어 수익률이 떨어지면서 신규 가입은커녕 기존 가입자들도 꾸준히 이탈하는 모습이다. 이 펀드를 활성화시켜 근로자들의 재산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가입제한 조건인 연 소득 5,000만원 이하를 상향 조정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6일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소장펀드 가입계좌 수는 23만6,167계좌로 지난해 6월 말(25만4,327계좌) 이후 꾸준히 줄어드는 추세다. 특히 출시 한 달 만에 15만8,000여계좌가 신규 가입한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아직 지난달 말 통계가 최종 집계되지는 않았지만 추세대로라면 계좌는 더욱 줄어들 것이라는 게 협회의 예상이다.

적립식 펀드의 특징상 설정액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지만 증가폭도 현저히 둔화됐다. 지난해 4월 말부터 6월 말까지 2개월간 소장펀드 설정액 증가분은 447억원으로 매달 평균 224억원 정도 늘었지만 지난해 12월 말부터 2개월간 월평균 설정액 증가분은 167억원에 그쳤다. 자산운용업계의 한 관계자는 "펀드 가입을 희망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지금도 소장펀드에 대한 문의가 이어지고 있지만 관심과 달리 실제 가입자 수는 감소하고 있다"고 말했다.


자산운용업계에서도 소장펀드는 외면을 받는 분위기다. 애초 업계는 소장펀드 설정액이 4조원 이상 성장할 것으로 내다봤지만 지난해 출시와 맞물려 '반짝' 성장한 후 자금유입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자 새로운 상품을 출시하는 것을 꺼리고 있다. 실제 소장펀드는 지난해 7월 베어링자산운용의 '베어링고배당소득공제자'가 출시된 후 새로운 상품이 나오지 못하고 있다.

관련기사



이처럼 소장펀드가 외면 받는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실제 수익률이 그다지 매력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다. 펀드평가 업체 제로인에 따르면 현재 판매되는 60개 소장펀드 가운데 설정 후 4% 이상 수익률을 기록한 펀드는 27개로 절반에도 미치지 못한다. '하나UBS코리아장기소득공제전환자' '신한BNPP좋은아침희망소득공제장기전환자' 등 10여개 펀드는 설정 후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하고 있다. 특히 최근 들어 수익률이 떨어지는 펀드가 눈에 띄게 늘어나고 있다. 이달 들어서는 7개 펀드를 제외하고는 모두 마이너스 수익률을 기록했다. 물론 '현대인베스트먼트로우프라이스장기소득공제자(27.98%)' 'IBK중소형주코리아소득공제자(19.69%)' 등 수익률이 10%를 웃도는 펀드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기대에 미치지 못했다는 평가다.

한 증권사 자산운용본부장은 "적립식 펀드의 수익률이 최근 악화되는 것과 유사한 패턴"이라며 "박스권 장세의 영향인 것 같다"고 말했다.

아울러 까다로운 가입기준도 여전히 소장펀드의 성장을 가로막는 걸림돌이 되고 있다. 현재 소장펀드는 연 급여소득 5,000만원 이하의 근로자가 연간 600만원 한도 내에서 납입액의 40%까지 소득공제 혜택을 주고 있다. 업계는 급여소득 규정을 높여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업계의 한 관계자는 "연 5,000만원 소득 수준의 근로자가 매달 350만원 정도를 실수령한다고 가정하면 펀드에까지 가입할 여력은 많지 않다"며 "금리인하로 앞으로는 증가하겠지만 무엇보다 소득 조건을 완화해주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지적했다.

이미 업계에서 이에 대한 개선안을 끊임없이 건의를 하고 있지만 당국이 받아들일 수 있을지는 미지수다. 신동준 금융투자협회 자산운용지원부장은 "소득 기준 완화와 함께 올해 말까지로 돼 있는 가입기간도 늘려야 한다고 건의했다"며 "정부의 세제개편이 진행되면 본격적으로 논의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설명했다.


박성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