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국투자 5대 권역별 선택·집중해야"

한국의 제1수출시장이자 최대투자대상국으로 부상한 중국이 최근 발표한 제11차 5개년 규획에 대해 기업들의 적극적인 대비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5일 `중국 제11차 5개년 규획의 정책특징과 우리기업의 대응전략' 보고서를 통해 중국이 기존의 양적 성장에서 안정과 조화를 중시하는 균형 중심의 성장전략으로, 투자중심의 경제운용에서 소비 진작을 우선하는 경제운용으로전환하는 제11차 5개년 규획을 발표함에 따라 우리기업들에게 새 사업 기회가 주어질 것이라고 주장했다. 중국의 제11차 5개년 규획은 취업, 복지, 소득균형 등 균형잡힌 성장전략, 환경친화 자원절약형 사회의 건설, 소비확대와 내수진작중심의 개발전략, 5대 중심경제권역의 개발과 내수진작, 신농촌 건설을 통한 공공사업의 확충과 농촌 소비수요층의확대 등을 주요 내용으로 담고 있다. 대한상의 보고서는 제11차 5개년 규획에 따라 내륙지역의 소득 증가와 내수시장확대가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이 중국 내수시장 공략방안을시급히 모색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대한상의는 사회주의 조화사회의 추구로 인해 서부대개발계획은 더욱 박차를 가하게 될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에 우리 기업들은 서부 지역의 기초인프라시설 건설이나 유통시장에 진출하는 것이 유망하다고 밝혔다. 동북3성의 경우에는 자원우위와 중공업 기계설비의 비교우위를 살려 자본재 장비사업과 부품소재산업의 육성에 중국정부가 진력할 계획인만큼 우리나라와의 지리적 문화적 이점을 살려 관련 산업투자에 선점의 이점을 누려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