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우량·비우량기관 수신전략 대조적

우량·비우량기관 수신전략 대조적 우량銀,"뭉칫돈 유입 막아라" 비우량기관,"끌어들여라" 「뭉칫돈 한쪽에선 막고 한쪽에선 매달리고….」 정부가 예금보장한도를 5,000만원 수준으로 상향조정할 것으로 전해지면서 우량·비우량 금융기관간 마케팅 전략이 극명하게 엇갈리고 있다. 우량은행들의 경우 밀려드는 예금이 자금운용 면에서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고 추가 금리인하 등을 검토하고 있는 반면, 비우량은행들은 고액을 예금하고 있는 개인 우량고객들에 대한 마케팅을 한층 강화하는 등 예금이탈 방지에 주력하고 있다. 특히 신용금고·지방은행 등 상대적으로 신인도가 떨어지는 기관들은 그동안 추진해오던 예금 분산예치 등 공조체제를 더욱 강화하고 조정되는 보장한도에 맞춰 추가로 예금을 유치하기 위한 신상품 개발 등에 착수했다. ◇비우량기관 「뭉칫돈 이탈을 막아라」=신용금고 등 서민 금융기관들과 신인도가 떨어지는 비우량은행그룹은 예금보장한도의 상향조정으로 추가될 것으로 예상되는 3,000만원 가량의 예금유치에 적극 나서는 한편 보호를 받지 못하는 거액 예금의 이탈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하는 등 「이중작전」을 구사하고 있다. 한 대형 은행 관계자는 『지금까지와는 달리 일반 서민층을 배제하고 5,000만~2억원 정도를 예금하고 있는 우수 개인고객 위주로 마케팅을 강화할 예정』이라며 『거액 기관예금에 대해서는 경영진까지 나서 설득에 나서고 있다』고 밝혔다. 은행의 한 영업점에 5,000만원 이상을 예치하고 있는 우량고객들의 경우 3~4인 가족명의로 분산예치할 경우 최대 2억원 안팎까지 유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이들을 집중적으로 관리해 예금이탈을 막겠다는 전략이다. 일부 은행은 비과세 생계형 저축 시판에 앞서 대대적인 사전 섭외에 나서는 등 총력전을 준비하고 있다. 특히 그동안 2,000만원 이하 예금에 맞춰 보너스금리 제공 등을 통해 대대적인 수신유치 전략을 펼쳐온 신용금고 등 서민 금융기관들은 예금을 추가로 예치할 수 있는 호기라고 판단하고 예금분산유치 공조의 강화와 함께 상향조정되는 보장한도에 맞춘 신상품 개발에 착수하는 등 발빠르게 대응하고 있다. ◇우량기관 「뭉칫돈 유입을 막아라」=국민은행 관계자는 『예금부분보장제 시행을 앞두고 수익에 부담이 되는 고금리 법인예금은 최대한 선별적으로 받겠다』고 밝혔다. 이는 금리가 비우량은행들에 비해 0.2~0.3%포인트 낮은데도 불구, 예금이 늘고 있는 상황에서 거액 예금들이 추가로 유입될 경우 금리를 또다시 낮춰서라도 이를 통제하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국민은행은 이미 지난 8월 예금 기본금리를 인하한 데 이어 지난주에도 정기예금·청약예금 등의 금리를 0.2~0.3%포인트씩 내린 바 있다. 국민은행 외에 주택·신한 등 고객들로부터 상대적으로 「안전한 곳」으로 평가받고 있는 다른 우량은행들도 거액 예금주들이 안전한 곳을 찾아 이동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더이상의 뭉칫돈 유입은 수지관리에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내부 판단을 내리고 있다. 『철저하게 운용수단에 맞춰 수신전략을 펼쳐나간다』는 것이 우량은행들의 기본 수신전략이다. 이진우기자 입력시간 2000/10/16 17:20 ◀ 이전화면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