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與비대위, MB와 선긋기 나섰다

정책ㆍ인물 차별화에 내부 불만<br>정권재창출 고려 않는 선긋기에 비판도

한나라당 비상대책위원회가 이명박(MB) 정부와 선 긋기에 나섰다. 6명의 외부출신 비대위원들은 7ㆍ4ㆍ7(7% 경제성장ㆍ1인당 국민소득 4만달러ㆍ7대 경제강국)공약 폐기는 물론 현 정부 실세들의 퇴진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내고 있다. 앞으로 3개월 동안 운영되는 비대위는 앞으로 매주마다 쇄신안을 내놓는 한편 내년 총선의 공천심사의 기준에도 관여할 계획이다. 쇄신대상으로 지목받은 한나라당 의원들은 예상보다 강한 비대위의 드라이브를 일단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비서가 디도스 사건에 연루되어 비대위로부터 탈당을 권유 받은 최구식 한나라당 의원도 28일 “당의 뜻을 충분히 이해한다”면서 수긍했다. 그러나 ‘정권재창출’에 관심 없는 외부 인사로 채워진 당 쇄신 방안에 대한 불만도 감지되고 있다. 비대위원들은 일단 현 정부 주요 정책에 칼날을 들이댈 태세다. 이번 비대위에서 가장 주목받은 26세의 이준석 비대위원은 서울경제신문과 통화에서 현 정부의 취업후 등록금 상환제(ICL)에 대해 “일부 기준을 완화하는 식으로 장난치는 게 아니라 전면적인 수정을 하고 싶다”면서 “ICL도 빚인데 빚지는 사람과 갚는 사람이 다른 맹점이 있다”고 지적했다. 아동복지 전문가인 이양희 비대위원은 “복지는 여야가 협조해 초당적인 대안을 내놓는 게 선진국 추세”라면서 “한나라당도 야당의 방안 중에 좋은 것은 받아들여 새로운 대안을 내놓아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진보ㆍ보수 정권을 넘나들며 대기업ㆍ부동산 문제 개혁에 나선 김종인 비대위원이 첫 회의에서 ‘MB정부 틀’을 벗어날 것을 주장함에 따라 성장위주 정책이 전면 수정되어 총선 공약으로 등장할 것이라는 게 중론이다. 비대위는 청와대 등 친 이명박계 인사의 비리 연루 의혹에 대해 선제적으로 나서기도 한다. 중앙선거관리위 홈페이지 디도스 공격사건에 대한 '검찰수사 국민검증위'를 이끄는 이준석 위원은“국민검증위는 검찰수사결과가 국민 눈높이 수준에 맞는지를 검증하는 곳으로 일반 시민을 위원으로 모시겠다. 검찰 수사결과가 기술적으로 미진한 부분이 있다거나 정치적으로 봤을 때 '나꼼수(나는 꼼수다)'에서 거론되는 의혹을 해소하지 못하면 실제적인 활동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조현정 비대위원도 “나꼼수의 지적 내용에는 청와대 이야기도 있고 대통령 친인척 이야기도 있고 이런 것들이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국민들이 다 알고 있다. 굴뚝에 연기는 나는데 그것이 밥을 끓여 먹는 건지 고기를 구워 먹는 건지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비대위원이 제기하는 ‘친이명박계 인사 용퇴론’도 당에 충격타를 줬다. 정책ㆍ공천개혁 분과위원장인 이상돈 비대위원은 "2004년 한나라당이 탄핵 후폭풍으로 흔들릴 때 최병렬 대표 등이 명예롭게 은퇴했고 여기에 새로운 사람이 들어가 선전했다"며 "현재는 국정 실패에 책임있는 사람들이 `나는 모르겠다'며 아무도 책임을 안진다. 이런 모습으로 국민한테 쇄신한다고 말할 수 없는 것 아니냐"고 말했다. 한나라당 의원들은 ‘비상시국’이라는 현실 때문에 드러내진 못하지만 불만이 상당하다. 친이계의 한 초선 의원은 “현 정부와 집권여당이 선을 긋는다면 정권재창출은 이룰 수 없다”면서 “외부출신 비대위원들은 한나라당의 정권재창출을 목표하지 않기 때문에 이들의 주장대로만 따라가지 말고 박근혜 비대위원장과 새로 선임될 사무총장이 한나라당의 변화와 정권재창출을 모두 이뤄내야 한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중진의 친이계 의원은 이상돈 위원의 ‘친이계 용퇴론’에 대해 “억지로 갖다 붙이는 견강부회(牽强附會)다”라며 의미를 부여하지 않았다. 한나라당 관계자는 “의원들의 속내가 어떨지는 몰라도 겉으론 국민 여론이 있으니 (비대위 결정에) 반발하기 힘들 것이다”고 말했다. @sed.co.kg @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