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현금서비스 할부 결제 중단

4월부터… 돌려막기 규제 따라


카드 결제하던 사람들 '날벼락'
현금서비스 할부 결제 중단4월부터… 돌려막기 규제 따라

이유미기자 yium@sed.co.kr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상관 없음












카드사들이 오는 4월부터 현금서비스 할부 결제를 중단한다.

금융 당국이 가계부채 급증을 우려해 카드를 이용한 모든 형태의 '돌려막기'를 규제하기로 했기 때문이다.

12일 여신업계에 따르면 국민카드ㆍ삼성카드ㆍ롯데카드는 오는 4월1일부터 신규 고객을 대상으로 현금서비스 할부 결제를 제공하지 않을 예정이다.

현금서비스 할부 결제란 카드로 자동인출기 등을 통해 현금을 빌리고서 2~3개월 나눠 갚는 방식을 의미한다. 할부 수수료를 내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급하게 돈이 필요하지만 바로 갚기 어려운 서민층의 이용 빈도가 높았다.

국내 카드사 가운데 신한카드와 하나SK카드를 제외한 모든 전업 카드사가 현금서비스 할부 결제를 도입해 시행 중이다.

국민카드 관계자는 "현금서비스 정상화를 위해 4월부터 현금서비스 할부 결제의 신규 취급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특히 금융감독 당국이 카드사들에 현금서비스 할부 결제 자제를 요청한 것으로 알려지면서 서비스 중단에 동참하는 카드사가 더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현재 현대카드가 추가로 서비스 중단을 검토하고 있다.

금융감독 당국의 한 관계자는 "저신용자들이 주로 이용하는 카드 현금서비스에 무료로 할부 혜택까지 주면 가계 빚 문제가 더욱 심각해질 수 있다"며 "해당 서비스는 폐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 다음달부터는 신규 현금서비스에 대한 리볼빙 결제도 제한될 예정이다.

리볼빙은 잔액이 일시적으로 부족할 때 결제를 미루는 것으로 단기 긴급자금을 끌어쓰기 위한 수단으로 활용됐다.

신한카드 등 카드사들은 현금성 리볼빙에 대해 20%대의 고금리를 물어 '약탈적 대출'이라는 지적을 받아왔다. 금융 당국은 대출받은 현금 서비스의 상환 시점을 리볼빙으로 연장하는 게 당초 상품의 특성과도 맞지 않고 가계부채를 부추길 수 있다고 보고 있다.


무이자할부 혜택 신규 신용카드 출시 전면 중단
디지털미디어부
상시행사용 무이자할부 중지 후속 조치

무이자할부를 탑재한 신규 신용카드의 출시가 일제히 중단된다.


금융 당국이 개정 여신전문금융업에 맞춰 무이자할부 규제를 강화했기 때문이다.

관련기사



13일 카드업계에 따르면 신한카드, KB국민카드, 삼성카드, 현대카드, 롯데카드, 하나SK카드, 비씨카드 등 대형 카드사들은 무이자 할부 혜택이 부여된 새로운 카드를 내놓지 않기로 했다.

금융 당국은 최근 카드사 특별검사에서 무이자 할부 현황을 자세히 파악하고서 무이자 할부를 탑재한 신규 카드 발매를 자제하라고 요청한 것으로 알려졌다.

신규 카드에 무이자 할부 기능이 포함되면 카드사 사업비가 늘어 이 혜택을 못 받는 고객만 불이익을 당하기 때문이다. 카드사와 대형가맹점의 비용 분담 원칙에 어긋나는 면도 고려됐다.

신한카드 관계자는 "법 개정으로 무이자할부 탑재 신규 카드 출시가 수익자 분담 원칙에 어긋난다는 지적이 있어 앞으로 관련 카드의 출시가 어렵게 됐다"고 밝혔다.

현대카드 관계자도 "무이자할부가 탑재된 카드를 앞으로 내놓을 계획이 없다"고 전했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주변 여건을 고려해 무이자할부 기능이 있는 신규 카드는 앞으로 출시하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삼성카드 관계자는 "무이자 할부 정책과 관련한 금융 당국의 지침을 충실히 따른다는 게 기본 입장"이라고 설명했다.

카드사들은 대형 가맹점의 비협조 때문에 상시 행사용 무이자 할부를 오는 17일부터 차례로 중지하기로 한 바 있다.

고객 배려 차원에서 1개월 정도 유예한 상시 행사용 무이자 할부를 계속 하면 경영 압박이 커지고 대형 가맹점 분담을 규정한 법에 어긋난다는 이유에서다.

백화점이나 대형 할인점 등에서 무이자 할부 서비스를 계속 이용하려면 기존에 출시된 무이자 할부 탑재 카드를 이용해야 한다. 무이자 할부를 자주 하려면 자신이 보유한 카드의 부가 혜택을 확인해보고 '카드 갈아타기'도 고려해볼 만하다.

국민카드의 '와이즈카드'나 삼성카드의 '삼성카드4', 신한카드의 '심플 카드', 현대카드의 '제로 카드', 비씨카드의 '그린 카드', '우리V 티아라 카드', 'IBK 스타일 플러스 카드' 등이 해당 상품이다.

'제로 카드'와 '삼성카드 4'는 새해 들어 상시 행사용 무이자할부 잠시 중단된 사이 반사 이익으로 지난 1월 발급량이 지난해 12월보다 10% 이상 늘어나는 등 큰 인기를 얻었다.

'삼성카드 4'는 전월 이용 금액에 상관없이 모든 가맹점에서 0.7%를 할인해주는 부가혜택을 핵심으로 담고 있다. '제로카드'는 모든 가맹점에서 5만원 이상 결제 시 2~3개월 무이자 할부 혜택을 주고 있다.

현대카드 관계자는 "무이자 할부 중단 사태가 벌어지면서 제로카드 등 무이자할부가 탑재된 카드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발급량도 늘었다"면서 "제로카드는 무이자 할부에다가 이용액의 0.7% 할인까지 가능해 큰 인기를 끌 것으로 예상된다"고 덧붙였다.

















이유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