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은행 담보대출도 신용반영

국민등 이어 하나銀 고객 연체율등 따라 차등화똑 같은 부동산 담보를 제공하더라도 신용도가 높은 고객이 대출을 더 많이 받고 금리도 낮게 책정되는 등 담보대출에 개인의 신용상태를 반영하려는 움직임이 은행권에 확산되고 있다. 30일 금융계에 따르면 하나은행은 다음달 1일부터 가계담보대출 한도를 결정할 때 지역별 로 담보인정 비율을 60~70%로 차등화하는 한편 고객 신용도 및 거래기여도에 따라 대출한도를 우대하는 가계대출 제도를 도입하기로 했다. 하나은행은 그동안 가계대출 담보인정비율 산출시 지역 및 개인 신용도를 감안하지 않고 감정가의 80%를 일률 적용해왔다. 새로 도입되는 가계담보대출 산정방식은 각 지역을 시ㆍ군 단위로 세밀하게 나눈 뒤 연체율과 경매 성사가능성 등을 감안해 3등급으로 분류하고 담보인정비율을 차등 적용한다. 특히 고객의 신용도에 따라 담보인정비율을 0~15%까지 얹어주기 때문에 신용이 좋으면 대출한도가 늘어난다. 다만 전체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아파트 담보대출의 담보인정비율이 80%를 넘지 못하도록 했다. 한빛은행도 담보대출에 적용할 고객 신용등급별 융자비율을 차등화하고 이달 말까지 전산개발을 완료, 늦어도 하반기부터 시행할 예정이다. 이에 앞서 국민은행은 지난달 6일부터 부동산담보 비율을 하향 조정하면서 신용도가 우수한 고객에 대해서는 담보비율을 높여주는 제도를 시행중이다. 제일은행도 이미 담보대출에 고객의 신용도를 감안하고 있으며 오는 8월말까지 신용리스크 측정시스템이 구축되면 한 단계 진보된 여신심사 체계를 갖출 예정이다. 씨티은행, HSBC등도 이미 주택담보대출에 개인신용도를 반영해 대출한도를 결정하고 있다. 은행들이 앞다투어 가계 부동산담보대출에 고객의 신용도를 반영하는 것은 부동산 가격이 하락할 때 대출이 부실화되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조치로 풀이된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은행들이 담보 가치 하락에 따라 리스크가 예상 외로 크다는 점을 감안해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며 "이에 따라 올 하반기부터는 대부분의 은행들이 신용도를 감안해 담보대출을 차등화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김민열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