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 민생 챙기는 임시국회돼야

민주당이 "민생을 위해 국회를 열겠다"며 등원하기로 함에 따라 이번주 중에 2월 임시국회가 열릴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12월8일 여당의 예산안 단독처리에 따른 야당의 장외투쟁으로 파행을 겪은 지 2개월 만에 국회가 정상화되는 셈이다. 여야 영수회담이 무산된 것은 아쉽지만 날로 치솟는 물가 및 전세대란, 구제역, 일자리 창출,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비준 등 문제가 쌓여 있는 상황이어서 기대가 클 수밖에 없다. 영수회담이 열렸다면 보다 효율적인 국회가 될 수 있었을 것이다. 대통령과 야당 대표가 2년5개월 동안이나 얼굴을 마주 대하지 않았고 또 자존심 때문에 영수회담이 무산된 것은 정치력의 공백을 나타내는 것이다. 여야 모두 '속좁은 정치'를 하고 있는 것이다. 임시국회만이라도 마음을 열고 민생문제 해결에 발벗고 나서기 바란다. 국회의원 세비도 껑충 뛰었다. 공무원과 같이 세비도 5.1% 인상됨에 따라 월 1,036만6,443원, 연봉 1억원을 훌쩍 넘게 됐다. 처우가 좋아진 만큼 책임도 무거워졌음을 인식해야 한다. 국회의원이라고 상생에서 예외일 수는 없다. 국회의원이 일터인 국회에 등원하는 데 전제조건을 내거는 것은 말이 안 된다. 문제가 있으면 국회에서 따지고 대안 제시 등을 통해 해결해야 한다. 민생법안 등의 처리가 지연되면서 가중되고 있는 국민의 고통을 조금이라도 덜어주기 위해서라도 조건 없이 국회를 열어야 한다.. 또 한 가지 지적할 것은 국회를 열어놓고 여야가 힘겨루기에 나서 파행이 돼서는 안 된다는 점이다. 구제역으로 축산업과 가공업은 붕괴위기를 맞고 전세대란으로 서민의 고통이 커지고 있다. 국제 원자재 가격이 치솟는 가운데 물가불안은 가중되고 있다. 궁지에 몰린 북한의 재도발 가능성이 높은 가운데 16일부터 실사가 시작되는 평창 동계올림픽 유치도 국가적 현안이다. 여야와 국민이 힘을 모아야 할 때이다. 이런 면에서 여야 지도부의 책임이 무겁다. 잠시라도 대결과 정쟁을 접고 민생과 국가 현안을 위해 노력하는 국회가 되기를 기대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