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수도권 부동산시장 '꿈틀'

'수도이전 위헌'이후 인천 견본주택에 수천명 몰려<br>전문가들 "정부규제 지속… 흐름 바꾸긴 힘들것"

수도권 부동산시장 '꿈틀' '수도이전 위헌'이후 인천 견본주택에 수천명 몰려전문가들 "정부규제 지속… 흐름 바꾸긴 힘들것" • '행정특별시' 대안 급부상 • 기업ㆍ혁신도시 충청 1순위로 •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논의 '분주' • 문의전화 빗발불구 급매물은 없어 • '충청권 묻지마투자' 피해확산 헌법재판소의 신행정수도건설특별법 위헌 결정 이후 수도권 지역 부동산 시장이 반사이익을 누리게 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이 잇따르고 있다. 실제로 헌재 결정이 난 직후인 지난주 말에는 지금까지 침체됐던 인천지역 분양아파트의 견본주택에 수천명의 인파가 몰리는 등 수도권 지역에 대한 수요자들의 관심이 높아지기도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충청권에 몰리던 자금이 수도권으로 일부 옮겨갈 수는 있지만 정부의 부동산 규제가 지속되고 가수요가 이미 사라진 상태에서 전체 흐름이 바뀌기는 어렵다고 지적한다. 지난 22일 문을 연 인천 논현지구의 신영지웰의 견본주택에는 개관 첫날 4,000명이 넘는 인파가 몰렸다. 인천은 지난해 말 19가구에 불과했던 미분양물량이 8월 말 현재 1,490가구로 늘어 분양경기 침체가 심화되고 있던 지역이었다. 회사 관계자는 “방문객이 몰리면서 모델하우스 밖 수백미터까지 대기 줄이 길게 늘어섰고 주변도로가 혼잡을 빚었다”며 “중대형 평형 위주의 고급화 전략이 먹힌 것 같다”고 말했다. 인천 간석동과 대전 홍도동에서 동시에 분양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신동아건설도 현장별로 희비가 엇갈렸다. 분양을 자신했던 대전의 경우 위헌 결정 이후 견본주택 방문객이나 문의전화는 눈에 띄게 줄어든 반면 인천은 예상보다 반응이 좋았다. 이 회사 관계자는 “대전의 경우 지역분위기가 가라앉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하지만 지난 4차 동시분양까지만 해도 청약률이 사상 최저치로 떨어져 걱정했던 인천지역은 예상 외로 견본주택 방문객이 많아 좋은 결과를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올해 최대 투자유망지로 주목 받던 충청권의 개발호재가 사라짐에 따라 부동산시장의 주도권은 다시 서울 등 수도권으로 넘어올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내년 상반기 최대관심지역이 판교 신도시인 만큼 수도권 남부에 다시 관심이 집중될 수밖에 없다는 분석이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충청권에 몰렸던 뭉칫돈이 일부 수도권에 이동할 수는 있겠지만 부동산시장 분위기 자체를 반전시킬 수는 없다고 본다. 고철 주택산업연구원 원장은 “행정수도 이전 무산은 충청권이 아닌 다른 지역 부동산시장에 호재가 될 수 있지만 심리적 영향 정도이지 부동산 값에 직접 영향을 미치긴 어렵다”고 말했다. 김선덕 건설산업전략연구소장도 “헌재의 위헌 결정으로 수도권 지역의 투자수요가 살아나긴 어렵다”면서 “서울ㆍ수도권 주택시장의 투자수요가 상대적으로 회복될 수는 있겠지만 가격 하락 폭을 둔화 시키는 수준일 것”이라고 내다봤다. 서울 강남지역의 경우 헌재의 위헌 결정이 미치는 반사이익은 수도권보다 미미하다. 서초구 반포동 반포주공의 모 중개업소 H 사장은 “위헌 결정 이후 문의전화 한통 오지 않고 있다”며 “위헌 판결 이후 달라진 것은 하나도 없다”고 시장 상황을 전했다. 송파동 J공인의 한 관계자도 “33평형 시가 6억원 아파트의 계약을 원하는 손님이 실거래가로 세금이 매겨져 취득ㆍ등록세로 4,000만원 정도 소요된다고 설명하자 부담스럽다며 전화를 끊었다”며 “수도이전 보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강남권 시장에 더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와 같이 수도권의 경우 투자매력이 있더라도 강력한 부동산 투기억제대책이 무엇보다 걸림돌이 되고 있다. 이에 따라 부동산 투자자금이 규제가 덜하면서 기업도시 유치 가능성이 높은 강원도 원주, 전남 무안, 전북 군산 등으로 이동할 가능성도 점쳐진다. 또 충청권 민심을 다독이기 위해 정부와 여당이 내놓?대체 개발계획에 따라 충청권 내 교통망 개선지역이나 개발호재 지역에 자금이 쏠릴 가능성도 높다. 이연선 기자 bluedash@sed.co.kr 입력시간 : 2004-10-24 17:2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