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내년 성장률 5.2~5.3% 가능"

李부총리 "지금은 스태그플레이션 아니다" 일축도

"내년 성장률 5.2~5.3% 가능" 李부총리 "지금은 스태그플레이션 아니다" 일축도 • 시장 불안심리 잠재우기 의도 • 부자가 돈써야 경제도 살아나 • "내수 급속 회복 힘들다" 시큰둥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6일 올해 경제성장률이 5%대에 이르고 내년에는 5.2~5.3%에 달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또 최근 제기되고 있는 스태그플레이션 우려에 대해 “우리 경제는 내재적인 비용상승 요인이 없어 현재 상황을 스태그플레이션으로 볼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 부총리는 이날 정부 과천청사에서 경제장관간담회를 주재하며 “6월 들어 소비가 회복세를 보이고 있다”며 “7월에 투자 및 소비 회복세가 본격화하고 수출도 내년 초까지 월 210억달러 수준을 유지할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부총리의 이 같은 경기전망은 최근 민간기관들의 전망과 큰 차이를 보인다. 내년 성장률에 대해 한국은행은 잠정적으로 4.8% 정도 될 것으로 보고 있고 삼성경제연구소 3.7%, 모건스탠리 3.8%, 씨티그룹 4.5% 등 국내외 기관들도 최근 연이어 전망치를 낮췄다. 이와 관련, 이 부총리는 “민간 부문은 여러 가지 비관적 요소를 강조해 낮게 보는 경향이 있다”며 “건설경기 연착륙, 중소기업 활성화, 수출자유지역 외자도입, 기업도시 건설 등을 종합적으로 추진하면 이 같은 성장률을 달성할 수 있다는 게 정부의 의지”라고 설명했다. 이 부총리는 또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에 대해 “스태그플레이션의 개념을 잘못 이해하고 있다”며 “지난 70년대는 임금과 물가가 상승작용을 일으켜 성장의 발목을 잡는 ‘비용압력(cost push)’ 요인으로 스태그플레이션이 발생했지만 현재 물가상승을 주도하는 고유가, 일시적인 농수산물 가격은 같은 요인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최근의 고유가에 대해 이 부총리는 "원칙적으로 5월 에너지종합대책에 근거해 대응할 것"이라며 "지금까지 정부의 유가대책에 일관성이 없다는 지적이 있었으나 참여정부는 이 같은 관행에서 탈피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고유가로 취약산업의 어려움이 가중되지 않도록 배려할 필요가 있다"며 단기대책을 마련할 가능성도 시사했다. 현상경 기자 hsk@sed.co.kr 입력시간 : 2004-08-06 17:54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