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재계 정책활동 대폭강화

내주중 경제5단체 의정협의체 구성… 핵심현안 공동대응책 마련나서

재계가 이르면 다음주 중 경제5단체 본부장급이 참여하는 의정협의체를 구성, 노사문제 등 각종 현안에 대한 조직적인 대응에 나선다. 이는 민주노동당의 원내진출과 정부의 개혁 드라이브 등 변화된 환경에 맞춰 국회와 정부를 상대로 한 정책로비의 활동반경을 넓혀 나가겠다는 전략이다. 재계는 이에 앞서 오는 31일로 예정된 노무현 대통령 주재의 노사정 대토론회를 앞두고 주5일제 근무제 도입과 비정규직 문제, 사회공헌기금 등 핵심 노사현안에 대한 보다 체계적인 대응논리 마련에 총력을 쏟고 있다. ◇ 5단체 의정협의체 곧 구성 = 재계는 우선 이르면 다음 주 중 전경련과 경총 등 경제5단체장 회의를 열고 ‘경제단체 의정협의체’ 구성을 구체화 할 계획이다. 이 협의체는 5단체의 본부장급이 참여하며 경제단체 사무국을 맡고 있는 경총이 간사를 담당할 예정이다. 경총의 한 관계자는 “당초 6월 말까지 의정협의체를 구성할 예정이었으나 최근 노사문제에 있어서 각종 현안이 쏟아져 나옴에 따라 대 정부 및 정치권 활동전략을 개별 기업이나 단체 중심에서 공동대응 체제로 전환할 필요가 있어 일정을 앞당기기로 했다”고 말했다. 경총은 실제로 28일 오전 조선호텔에서 가질 예정인 ‘주요 기업 노무ㆍ인사담당 회의’를 통해 노사문제에 대한 조직적인 대응을 위해 대 국회 섭외활동을 강화하는데 인식을 같이 할 예정이다. 5단체는 이와 함께 이날 저녁에는 서울 신라호텔에서 17개 국회의원 당선자 전원을 초청, 현안에 대한 재계 입장을 설명하는 자리를 갖는다. ◇ 31일 노사정 대토론회에 ‘촉각’ = 재계는 이와는 별도로 노동계의 6월 총력투쟁 등을 앞두고 오는 31일 노무현 대통령이 주재하는 노사정 대토론회가 노사관계의 중요한 전환점이 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일단 자리의 형식이 ‘토론회’라는 점에서 합의도출 보다는 서로의 입장을 확인하는 수준에 그칠 가능성이 높지만 ‘대통령 주재’라는 점에서 그 무게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경총의 한 관계자는 “재계 총수들과의 만남과는 달리 토론을 앞두고 실무차원의 사전조율도 전혀 없어 노사정이 서로 ‘선물’을 주고 받는 자리는 아닌 것으로 보고 있다”며 “공론의 장(場)에서의 토론이라는 형태를 띠고 있는 만큼 노동시장의 유연성 확보 필요성과 비정규직 문제 등에 대한 재계 입장을 충실하게 설명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정부가 개혁성향을 띠고 있는데다 대통령이 어느 쪽에든 양보 또는 압력을 가하는 듯한 발언을 할 경우 그 파장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보여 ‘토론회 이후’까지 대비한 종합적인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덧붙였다. 이진우기자 rain@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