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현장 인터뷰] 최형식 담양군수

"대나무 신산업가치 무한대"<br>첨단바이오기술 접목 고부가사업으로 개발 "수년내 세계시장 선도"

[현장 인터뷰] 최형식 담양군수 "대나무 신산업가치 무한대"첨단바이오기술 접목 고부가사업으로 개발 "수년내 세계시장 선도" “대나무 신산업은 담양의 미래를 짊어질 것입니다. 뿌리에서 잎까지 하나도 버릴 것이 없는 대나무에 첨단 신기술을 접목시킨 대나무 신사업의 미래가치는 계측이 힘들 정도로 무한한 것입니다.” 최형식 담양군수는 사양산업으로 전락한 전통 죽제품 생산지에서 21세기 새로운 지역특화산업 기지로의 도약을 지휘하고 있다. 그는 “정부도 성장성을 인정해 최근 대나무 신산업을 2004년 지역혁신 특성화 시범사업으로 선정했다”고 강조했다. 최 군수는 “지역경쟁력이 국가경쟁력으로 승화되는 현실에서 지역특화산업 개발은 필수 불가결한 것”이라며 “이는 지역 내에 산재한 자원을 다양한 아이디어를 모아 극대화시키는 작업을 통해서만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 같은 생각을 바탕으로 오랜 역사와 전통을 지닌 대나무산업에 첨단 바이오 기술을 접목시킨 신사업 개발에 나섰다. 군 행정조직 내에 대나무개발연구소를 개설하는 한편 대나무숲 조성과 고부가가치 바이오 산업개발을 위한 대나무 신산업 5대 전략을 세우는 등 하드웨어 구축에 힘을 쏟았다. 일부 지역민과 중앙부처에서는 값싼 중국산 죽제품 때문에 사양산업으로 전락해버린 대나무에 군수가 헛품을 팔고 있다며 비난을 퍼붓는 등 반대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최 군수는 “많은 비난과 반대에도 불구하고 대나무 신산업은 하나씩 성과를 보이고 있다”며 “관광객과 관련 기업들이 증가하고 여기에서 생산된 각종 첨단 제품들이 본격적으로 시장에 선 보이고 해외수출도 잇따르고 있다”고 자랑했다. 최 군수는 “대나무 신산업은 이제 시동을 걸고 막 출발선에서 떠난 상황”이라며 “가속도가 붙으면 앞으로 몇 년 안에 세계의 대나무 산업을 선도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광주=최수용기자 csy1230@sed.co.kr 입력시간 : 2004-08-15 19:37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