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종교편향 규탄 범불교도대회

스님·불교신자 등 20만여명 서울광장 집결<br>경찰 "보살님" 존칭 쓰며 충돌 자제

종교편향 규탄 범불교도대회 스님·불교신자 등 20만여명 서울광장 집결경찰 "보살님" 존칭 쓰며 충돌 자제 최인철기자 michel@sed.co.kr "우리나라가 언제부터 정교일치의 나라가 됐습니까. 이런 식으로 할 거라면 이명박 대통령은 차라리 목사를 하면 되는 것 아닙니까."(불교신도 김모씨) "어릴 때 절에 다녔고 지금은 안 다니지만 이명박 정부가 개신교 편향적인 것은 사실 아닙니까."(직장인 이모씨) 27일 스님ㆍ불교신자를 포함해 총 20만여명(주최 측 추산ㆍ경찰 추산 6만명)이 결집한 가운데 서울광장에서 '범불교도대회'가 열려 이명박 정부의 종교 편향에 대한 항의의 목소리를 높였다. 한국불교종단협의회 소속 27개 종단은 이날 오후2시 전국 사찰에서 33번의 타종과 함께 '헌법 파괴 종교 차별 종식과 국민통합' 서원식을 시작으로 대회 열기를 고조시켰다. 세종로와 시청 일대에는 대회에 참석하기 위해 지방에서 올라온 2,000여대의 버스가 도열했다. 이날 집회에서는 일부 스님들이 집단 연비의식(심지를 팔뚝에 꽂아 태우는 의식), 소지공양(손가락을 태우는 의식)을 가졌고 한때 소신공양(분신) 시도설이 나돌 만큼 매우 격앙된 분위기가 곳곳에서 연출됐다. 경찰은 이날 85개 중대, 8,250여명의 병력을 동원했지만 불교신도들을 자극하지 않는 데 주력했다. 실제로 집회 현장에서 '보살님' '스님'이라는 존칭을 써가면서 충돌을 자제하는 데 총력을 기울였다. 행사 참가자들은 집회 뒤 오후3시30분부터 오후5시까지 서울광장→세종로사거리→종각사거리→조계사(약 1.4㎞) 방면으로 가두행진도 벌였다. 봉행위원회는 "범불교도대회를 시작으로 전국에서 지역대회와 승려대회를 계속 개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의 대처가 미흡할 경우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집회에 이어 제2의 촛불집회로 번져나갈 가능성도 적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이날 대회에는 광우병국민대책회의 등 외부단체 회원 1,000여명도 가세해 약해진 촛불집회 열기를 되살리려는 시도를 감행했다. 이날 행사로 서울 도심 일대는 오후부터 극심한 교통혼잡에 시달렸다. 서울광장 주변과 가두행진이 이뤄진 구간의 차량통행이 통제되면서 시내버스가 도심을 우회하는 등 시민들이 많은 불편을 겪었다. 한편 서울시는 범불교도대회를 미신고 집회로 규정하고 무단 사용에 따른 변상금을 물리기로 했다. 시는 "광장 사용 허가를 내주지 않은 상황에서 열린 미신고 집회로 사용료와 무단 사용에 따른 변상금을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현행 조례에 따르면 서울광장 사용료는 주간은 시간당 1㎡에 10원으로 1시간 동안 서울광장 전체를 사용할 경우 13만원가량의 사용료가 나온다. 사용 허가를 받지 않고 무단으로 사용할 경우에는 20%의 변상금이 추가로 부과된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