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2015년 잉크젯 프린터 한국 매출 2,000억"

엡손 "타사보다 품질 월등… 세계 시장 주도 나설것"

오쿠무라 모토노리

"잉크젯 프린터의 기술력을 발판으로 오는 2015년까지 한국 시장 매출 2,000억원을 달성하겠습니다." 오쿠무라 모토노리 엡손 이미징총괄사업본부장(부사장)은 8일 "개인용 프린터 시장의 화두가 레이저에서 다시 잉크젯으로 옮겨가고 있다"며 "엡손의 첨단 잉크젯 기술을 통해 세계 프린터 시장의 주도권을 확보하겠다"고 강조했다. 세이코엡손이 정식 회사명인 엡손은 세계적인 광학기기 전문업체로, 주요 사업 분야는 프린터, 프로젝터, 공장자동화, 반도체, 액정표시장치(LCD), 시계 등이다. 잉크젯 프린터 시장에서는 HP에 이어 세계 2위, 프로젝터 시장에서는 1위를 달리고 있다. 지난해 9,900억엔(약 13조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올해는 1조3,000억엔(약 18조원)을 예상하고 있다. 국내 시장에서는 지난해 1,500억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오쿠무라 부사장은 이날 엡손과 HP의 잉크젯 프린터를 직접 비교하면서 자사 제품의 경쟁력을 거듭 강조했다. 그는 "엡손의 잉크젯 프린터는 경쟁사의 잉크젯 프린터는 물론 레이저 프린터보다도 출력속도, 품질, 유지비 등에서 월등하다"며 "올해를 기점으로 기업용 프린터 시장도 적극 공략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최근 브라더, LG전자 등이 가세하며 치열한 경쟁구도가 형성된 한국 시장에 대해서는 강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오쿠무라 부사장은 "올해 전 세계 잉크젯 프린터 시장은 7,500만대 규모로 예상되며 이 가운데 한국 시장은 120만대로 세계 12위 수준"이라며 "레이저 프린터를 대체할 수 있는 기업용 잉크젯 프린터를 출시해 소호 비즈니스 시장을 공략하는 한편 통합출력관리(MPS) 솔루션까지 선보일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그는 "잉크젯 프린터의 가격은 올리되 잉크 가격은 최대한 낮출 계획"이라고 밝혀 리필용 잉크 시장에 빼앗긴 국내 프린터 잉크 시장의 주도권을 되찾아오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최근 스마트폰 열풍 등 모바일 오피스 확산으로 인한 프린터 시장의 침체에 대해서도 낙관적인 전망을 내놓았다. 그는 "사무환경이 모바일 기반으로 옮겨 가면서 종이가 사라지는 '페이퍼리스(paperless)' 시대가 성큼 다가왔다"며 "하지만 여전히 중요한 업무는 문서 형태로 처리되기 때문에 프린터 시장의 전망은 밝다"고 전망했다. 향후 엡손의 미래 성장동력으로는 공장자동화용 로봇을 꼽았다. 오쿠무라 부사장은 "엡손은 지난 1980년대부터 모든 생산 공정에 자체 제작한 로봇을 활용하고 있다"며 "프린터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바탕으로 공장자동화용 로봇 시장에 집중적으로 투자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육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