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탈당 도미노’ 위기의 민주

텃밭 호남에서조차 당지지도 급락 제2야당 민주당이 창당 이래 최대의 위기에 봉착했다. 당 지지도 급락, 소속 지자체장들의 잇따른 탈당, 호남 민심의 급격한 이반 등 탄핵의 역풍이 거센데다 급기야 16일에는 조성준 의원이 탈당했다. 그러나 마땅한 타개책은 누구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10% 내외이던 당 지지도는 12일 탄핵안 가결 이후 5%까지 주저앉았고 심지어 민주노동당에 3위 자리를 내주는 수모까지 겪고 있다. 12일 강현욱 전북지사에 이어 15일에는 박태영 전남지사가 탈당하는 등 호남지역 단체장들의 탈당 러시도 지도부를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특히 텃밭인 호남의 당 지지도가 우리당의 절반으로 뚝 떨어지면서 “이러다간 원내 교섭단체 구성도 어려워지는 게 아니냐”는 위기감이 커지고 있다. 여기에 조성준 의원의 탈당 결행으로 민주당의 진로는 한치 앞을 분간하기 어렵게 됐다. 설훈 정범구 의원 등 탄핵 반대 의원 뿐 아니라 전갑길 배기운 의원 등 쇄신파의 탈당 가능성까지 흘러나오고 있다. 한 핵심 당직자는 “지난해 분당 때는 당을 지킨다는 명분이 있었지만 지금은 그런 것조차 없는 실정”이라며 한숨을 내쉬었다. 당 지도부는 우선 내부 결속과 탄핵의 정당성 홍보에 주력하고 있다. 15일 지방 당원 교육, 16일 서울지역 확대 당직자회의 등을 연속 개최했고, `왜 노무현 대통령을 탄핵할 수밖에 없었는가`라는 제목의 소책자 1만부도 제작ㆍ배포했다. “17대 국회가 탄핵안을 철회해야 한다”는 강금실 법무장관에 대한 공세를 강화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당 일각에서는 조 대표를 대신해 추미애 의원을 단독 선대위원장으로 내세우자는 목소리도 나온다. 탄핵안 가결에 대한 국민의 공분을 희석시키면서 지도부 퇴진을 주장하는 쇄신파의 요구도 일부 수용하자는 `조_추 임무 교대론`인 셈이다. 하지만 당 인사들은 “탄핵 정국을 헤쳐나갈 전략이 없고, 국민에게 민주당만의 비젼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는 게 가장 큰 문제”라고 지적한다. 한나라당은 친노(親盧)ㆍ반노(反盧) 구도, 우리당은 민주ㆍ반민주 대결 구도로 상황을 몰아가고 있지만 민주당은 그 틈새에서 운신의 여지를 찾지 못하고 있다는 얘기다. <양정대기자 torch@hk.co.kr>

관련기사



양정대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