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글로벌 신용경색 '外憂' 설비투자 부진등 '內患'

한은 "변동요인 많아 성장률 예측 힘들어"<br>일각 "소비 현상태 유지하면 성장세 지속"


‘완연한 상승국면이냐. 아니면 반짝 반등이냐.’ 국내 경제가 갈림길에 놓였다. 일단 3ㆍ4분기 경제성장률을 보면 2분기 연속 5%대를 이어가며 양호한 성장세를 보여줬다. 하지만 4ㆍ4분기에는 미국 서브프라임 모기지(비우량 주택담보대출) 사태로 촉발된 세계경제 둔화 여파로 우리 경제도 상승세가 한풀 꺾일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물론 대외적인 악재에도 불구하고 국내 소비가 꾸준히 늘고 있고 수출도 견조해 급락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게 전문가들의 분석이다. ◇3ㆍ4분기 성장률 ‘양호’=3ㆍ4분기 경제성장률 5.2%(전년동기 대비)는 여러모로 의미 있는 수치다. 우선 지난 2ㆍ4분기의 5.0%에 이어 2분기 연속 5% 성장세를 유지했다. 지난해 1ㆍ4분기(6.3%) 이후 5분기 연속 내리막길을 달리다 상승세로 돌아섰던 올 2ㆍ4분기 성장세가 ‘반짝 반등’ 수준이 아니었음이 입증된 셈이다. 특히 5.2% 성장률은 지난해 1ㆍ4분기 이후 1년6개월 만의 최고치여서 국내경제가 이제 상승국면에 올라탔다고 봐도 무난한 수준이다. 전 분기 대비 성장률은 2ㆍ4분기의 1.8%보다 둔화된 1.4%였지만 이는 지난 7분기 중 두번째로 높은 수준이다. 전민규 한국증권 수석연구원은 “3ㆍ4분기 성장률은 2ㆍ4분기의 높은 성장률과 비교해 낮아보일 뿐 여전히 빠른 경기회복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말했다. 3ㆍ4분기 경제성장은 민간소비와 수출이 견인했다. 전 분기 0.8%로 주저앉았던 민간소비 성장률은 고소득층 소비가 늘어나면서 1ㆍ4분기와 같은 1.5% 성장률을 회복했다. 전년동기 대비로는 4.9% 늘었다. 주가상승에 따른 소비증대도 한 몫 했다. 수출은 여전히 우리 경제의 버팀목이었다. 재화수출 성장률은 반도체, 산업용 기계 등의 호조로 1.5%를 기록해 견실한 성장세를 이어갔다.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서는 9.1%나 껑충 뛰었다. 이 같은 3ㆍ4분기 성적표에 전문가들은 일단 ‘합격점’을 줬다. 조종화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5.2% 성장률은 대외 악재 속에서도 잠재성장률 5% 범위 내 머물러 있어 괜찮아 보인다”고 말했다. 전 수석연구원은 “예상했던 5.3~5.5% 기대치에는 못 미치지만 소비회복 기조가 긍정적으로 엿보이는 등 그런대로 양호한 성장세”라고 평가했다. ◇4ㆍ4분기 ‘선방’ 가능할까=4ㆍ4분기 전망은 현재로서는 낙관하기 어려운 게 사실이다. 글로벌 신용경색, 미국 주택경기 심화, 중국경제 둔화 가능성, 유가급등 등 대외적 악재에다 환율하락에 따른 수출 경쟁력 악화, 건설업 침체, 설비투자 부진, 물가 상승 압력 가중 등 내부적 불안 요인도 상당하기 때문이다. 실제로 이날 기자간담회에서 최춘신 한국은행 경제통계국장은 “4ㆍ4분기에는 변동요인이 많아 성장률을 예측하기 어렵다”고 말했다. 미국 경기침체 및 중국 긴축 가능성 등 대외 변수의 영향력을 가늠하기 힘든데다 국내적으로도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영향으로 육우ㆍ양돈 생산이 줄고 있고 좋지 않은 날씨 탓에 농산물 생산도 부진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그러나 대다수 전문가들은 4ㆍ4분기 경제가 걱정은 되지만 그렇다고 갑자기 고꾸라지지는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소비나 수출이 예상보다 잘 버티고 있기 때문이다. 장재철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은 “환율이 하락세지만 연말까지 지금 수준은 지켜낼 것으로 보여 수출에 큰 문제는 없을 것 같다”며 “소비수준만 현 상태를 보인다면 성장세는 안정기조를 유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전 수석연구원은 “대외여건이 불안한 건 사실이나 수출 대상국이 미국 중심에서 다변화된데다 지난해와 달리 올해는 4ㆍ4분기에 추석이 없어 생산활동도 좋아지는 등 성장률이 나쁘지는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다. 부진한 설비투자만 컨트롤하면 의외로 선방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다. 조 연구위원은 “관건인 설비투자만 자극시켜 고용을 늘려 실업률을 낮춘다면 4ㆍ4분기 경제성장률은 4% 후반에서 5%까지 지켜낼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최 국장도 “수출과 소비가 호조세여서 올 한해 4% 후반의 성장률을 올릴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