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119구급차 환자수송만 응급처치 기대어려워

119구급차 환자수송만 응급처치 기대어려워 김충조의원 국감서 밝혀 119 구급차가 단지 환자만 수송할 뿐 이송도중 응급처치는 기대하기 어려운 것으로 밝혀졌다. 7일 국회 행정자치위원회의 행정자치부 국정감사에서 민주당 김충조(金忠兆) 의원은 대부분 구급차가 법에서 정한 의료장비도 갖추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金 의원은 “구급차 및 구조대의 편성 운영에 관한 규칙에 따르면 구급차에는 반드시 비강기도 유지기나 산소재생기, 고정대, 부목, 들것, 모포 등을 구비하도록 하고 있으나 대부분 이를 위반하고 있다”고 주장했다. 특히 심전도 기록장치는 16개 광역시ㆍ도의 절반인 8곳이 1개도 없었으며 심장박동을 재생해주는 심실제세동기의 경우 충북도는 1개도 없고 6곳의 시ㆍ도에도 1~3개밖에 없었다. 또 의약품을 투여하거나 의료장비를 사용할 수 있는 1급 응급구조사 자격자가 133명에 불과, 구급차 8대당 1명꼴로 배치돼 위급환자 수송에 치명적인 약점을 드러냈다. 이밖에 환자1인을 후송하는데 드는 소모품비를 각 지자체들이 평균 694원밖에 책정하지 않아 구명은 커녕 장비 소독도 할 수 없는 수준이었다. 金 의원은 “98년에 52명당 1명꼴로 구급차 출동을 요청했으나 99년에는 40명당 1명꼴로 늘어나는 등 국민들의 구급차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있다”며 “저가의 의료장비라도 충분히 확보 하도록 내년 예산에 반영하라”고 촉구했다. 입력시간 2000/11/07 16:53 ◀ 이전화면

관련기사



최석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