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기서 조율된 1단계 합의안이 24일(현지시간) 제네바에서 열린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상임이사국 및 독일(P5+1)과 이란 간 회담에서 결과적으로 추인을 받았다는 것이다.
24일 AP통신 등 미국 언론에 따르면 미국과 이란은 지난 1년간 이란의 핵개발 프로그램 중단시키는 역사적인 합의를 끌어내기 위한 일련의 고위급 직접 대화를 벌여왔다.
이는 ‘외교 해법을 통한 이란 핵 문제 해결’이라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의 국정연설 약속 이행을 위한 위험을 무릅쓴 도박이었던 셈이다.
오바마 행정부 고위 관리도 익명을 전제로 한 언론 브리핑에서 이 사실을 확인했다.
그는 “미국은 P5+1 및 이란 간 다자 회담과 별도로 이란과 양자 비공식·비공개 회동을 몇 차례 진행했다”며 “양자 회담의 목적은 P5+1 협상에 진전된 아이디어를 제공하려는 것이었다”고 설명했다.
오바마 대통령과 하산 로하니 이란 대통령이 지난 9월 서신을 교환하고 36년 만에 처음으로 양국 정상이 전화 통화를 하면서 원수지간이던 두 국가의 관계가 개선되고 있다는 신호는 있었지만, 양국이 이에서 더 나아가 비밀리에 소통하면서 핵협상 타결을 추진했다는 점은 24일 합의안 발표 이전에는 알려지지 않았던 사실이다.
이 관리는 지난 9월부터 가동된 양국 회담이 다자 회담 진전에 큰 도움이 됐을 뿐 아니라 핵심 동맹인 이스라엘에 세부 사항을 지속적으로 통보했다고 주장했다.
그는 “미국은 항상 P5+1이 기본 협상 틀이라는 점을 분명하게 밝혀왔다”고 말했다.
반면 AP통신은 미국과 이란 간 비공식 대화는 불과 2개월 전까지 P5+1 협상 참가국은 물론 이스라엘에도 철저하게 비밀에 부쳐졌다고 보도했다.
오바마 대통령의 특명을 받은 윌리엄 번스 국무부 부장관과 제이크 설리번 조 바이든 부통령의 선임 외교 보좌관이 지난 3월부터 중동 국가인 오만 등 제3국에서 이란 고위 관료와 최소 5차례 접촉했다는 것이다.
이 회동 정보는 오바마 행정부 내부에서도 극히 소수만 공유하고 있었다고 AP통신은 설명했다.
양국 간 비밀 회담은 화해 중재자를 자처한 오만의 술탄 카부스 빈 사이드 국왕의 주선으로 처음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다.
수전 라이스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유엔 주재 미국 대사 시절 깊숙이 관여한 것으로 전해진 초기 접촉은 다양한 경로를 통해 P5+1 틀과 같은 핵 협상 기반을 구축하는 데 초점이 맞춰졌다.
비공식 회동에서는 또 핵 현안뿐 아니라 이란의 시리아 사태 개입 및 호르무즈 해협 봉쇄 위협 등의 문제도 논의됐다.
이 과정에서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이 양국 간 소통 채널을 유지하기 위해 5월 오만을 방문하기도 했다.
아울러 최근 4차례 비밀 회담은 로하니 대통령이 8월 취임한 이후 번스 부장관과 설리번 보좌관, 웬디 셔먼 국무부 정무차관 등이 이끌었고 그 결과는 P5+1과 이란 간 제네바 협상에서 주요 의제로 공식화돼 최종 합의안에 반영됐다.
번스 부장관과 설리번 보좌관은 제네바 회담에도 모습을 드러냈으나 미국 측 공식 대표단 명단에서 이름을 빼고 다른 호텔에 숙박하는가 하면 취재진을 따돌리려 협상장 뒷문을 이용하는 용의주도함을 보였다.
미국과 이란이 이번 핵협상 타결 막전막후에서 고위급 회담을 열어온 것으로 알려짐에 따라 1979년 이란에서 이슬람 혁명과 테헤란 주재 미국 대사관 인질 사건이 일어난 이후 완전히 단절된 양국 외교 관계가 정상화할지 주목되고 있다.
/디지털미디어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