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망원·당산일대 부동산시장 꽁꽁

市 유도정비구역 계획 용역서 빠진뒤 거래 뚝 끊겨

지분쪼개기가 허용되면서 소규모 다세대주택 거래가 활발했던 서울 망원·당산유도정비구역의 거래가 개발지연 우려로 다시 위축되고 있다. 거래가 급격히 둔화되고 있는 망원지구 전경.

서울 마포구 망원동, 영등포구 양평ㆍ당산동 등 한강변 유도정비구역 일대 부동산시장에 '찬바람'이 불고 있다. 이들 지역은 유도정비구역 지정 이후 초고층 아파트 개발에 대한 기대감이 커지고 있던 상황에서 지난 7월부터 일명 '지분쪼개기'가 사실상 허용되며 지분 15㎡ 내외의 신축 다세대주택 거래가 폭발적으로 늘어났던 곳이다. 하지만 최근 서울시가 발주한 유도정비구역 지구단위정비계획 수립용역에 이들 지역 일부가 제외된 것으로 확인되면서 개발 지연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시는 ▦잠실지구(67만4,000㎡) ▦반포지구(76만㎡) ▦당산지구(22만㎡)에 대해서는 용역을 발주했으나 망원지구는 일단 제외했다. ◇망원지구 거래침체 직격탄=28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당장 망원지구는 매수세가 사라지며 시장 분위기가 가라앉고 있다. 9~10월만 해도 하루 1~2건씩 다세대주택 거래가 성사될 정도로 열기가 뜨거웠지만 최근에는 거래가 뚝 끊겼다는 게 현지 부동산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망원지구 일대 다세대주택은 지분 15㎡ 내외 소형 물건이 3.3㎡당 3,300만원선에서 매도 호가를 형성하고 있으며 이를 월세로 돌릴 경우 보증금 1,000만원에 매달 50만~60만원 정도를 임대수익으로 올릴 수 있다. 망원동 B공인의 한 관계자는 "지분이 워낙 작아 투자금액이 적고 월세 수입도 거둘 수 있어 매수 문의가 많았다"며 "계절적 요인도 있지만 개발이 늦춰질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면서 매수 대기자들이 일단 관망세로 돌아섰다"고 말했다. 망원지구 역시 내년 중에는 지구단위정비계획 수립용역을 발주하겠다는 게 서울시의 공식 입장이지만 당장은 불안감을 드러내는 투자자들이 많다는 것이다. 한 재개발 컨설팅 관계자는 이에 대해 "지분쪼개기가 극심하게 이뤄진 지역에 대해서도 고밀 개발을 허용하면 서울시가 투기꾼의 손을 들어주는 꼴이라 시 입장에서도 부담감이 큰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노후도 등의 이유를 내세워 개발시기를 조율할 수도 있다는 설명이다. ◇당산지구 개발제외지역 '촉각'=영등포구 당산동 및 양평동4~6가 일대를 아우르는 당산유도정비구역에서는 이번 지구단위정비계획 수립 대상 지역에서 제외된 곳이 어디인가를 두고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당산유도정비구역의 전체 면적은 60만㎡ 정도인데 이번 용역 발주된 지역은 22만㎡에 불과하기 때문이다. 현지 부동산업계에서는 "지분쪼개기가 극심하게 일어났던 양평동4~5가 일대를 서울시가 일단 제외했다"는 설이 유력하게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 도시계획조례는 지구단위계획구역 지정요건을 ▦준공 후 20년 이상된 건축물이 전체 3분의2 이상이거나 ▦준공 후 20년 이상된 건축물이 2분의1 이상이면서 준공 후 15년 이상된 다세대ㆍ다가구주택이 전체 건축물 수 대비 30% 이상으로 규정하고 있어 지분쪼개기에 따라 신축 건물이 늘어나면 개발 자체가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 다만 이 일대의 시장 분위기는 망원지구에 비해 양호한 편이다. 양평동4가 M공인의 한 관계자는 "2~3달 전과 비교하면 거래량이 줄었지만 비교적 매매는 꾸준히 일어나고 있다"면서도 "향후 개발계획 수립에 따라 시장 분위기가 달라질 수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