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뉴욕증시 다우, 사상 최고치 기록

S&P 500 지수 사상 최고치 근접해

26일(현지시간) 뉴욕증시가 미국 주택가격과 내구재 지표의 호조에 힘입어 상승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111.90포인트(0.77%) 뛴 14,559.6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 앤드 푸어스(S&P) 500 지수는 12.08포인트(0.78%) 높은 1,563.77을, 나스닥 종합지수는 17.18포인트(0.53%) 오른 3,252.48을 각각 기록했다.

다우 지수는 종전 사상 최고치였던 지난 14일의 14,539.14를 넘어섰고 S&P 500 지수는 종가 기준으로 사상 최고치인 2007년 10월의 1,565.15에 1.38포인트 차이로 다가섰다.

미국의 2월 내구재 주문은 시장의 예상을 깨고 전월보다 5.7% 증가했다. 지난 1월의 3.8% 감소에서 증가로 반전된 것은 물론 전문가들의 예상치(3.9% 증가)를 크게 웃돌았다. 지난해 9월 이후 가장 큰 증가세였다.

미국의 대도시 주택 가격은 6년7개월 만에 가장 높은 폭의 상승세를 보였다.


미국의 20대 대도시 주택가격을 나타내는 S&P/케이스-쉴러 지수는 지난 1월에 1년 전보다 8.1% 상승했다. 시장 예측치 7.9%보다 높은 수준이며 2006년 6월 이후 최고 상승폭이다.

관련기사



미국의 지난 2월 신규주택 판매 건수는 전월보다 4.6% 감소했다.

미국 민간 경제조사단체인 콘퍼런스보드가 발표하는 소비자 신뢰지수는 3월에 59.7을 기록했다. 이는 전월의 68과 시장 전문가들의 예측치 68을 모두 밑도는 수준이다.

한편 국제 신용평가사인 피치는 이날 키프로스의 신용등급을 ‘부정적 관찰대상(RWN)’으로 지정했다.

피치는 키프로스 은행 체계의 실패에서 비롯된 충격이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공공 재정에 대한 위험을 키운다고 밝혔다.

키프로스 당국은 오는 28일 은행들이 영업을 재개할 수 있도록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파니코스 데메트리아즈 중앙은행 총재가 말했다.

유럽중앙은행(ECB)은 키프로스 구제금융 방식을 유로존(유로화 사용 17개국)의 다른 위기국에도 사용할 수 있다는 불안감에 대한 진화에 나섰다.

에발트 노보트니 ECB 정책의사는 “키프로스는 특별한 경우로 다른 사례의 모델이 되지 않을 것이라는 것은 확실하다”고 못박았다.

/디지털미디어부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