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오명 부총리 '아쉬운' 퇴진

뉴욕 모교 명예교수로

오명 부총리 '아쉬운' 퇴진 뉴욕 모교 석좌교수로 (서울=연합뉴스) 김권용기자 우리나라의 정보통신 혁명을 이끌었던 정통 기술관료 오 명 부총리가 10일 약 2년2개월의 과기부 장관직을 마감하고 모교인 미국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 캠퍼스로 돌아간다. 오 전 부총리는 CDMA(코드분할 다중접속) 개발을 주도, 정보통신부 관료들로부터 `살아있는 전설'로 불릴 만큼 한국 IT(정보기술)혁명의 초석을 다진 인물로, 과기부의 부총리 부처 승격 이후에는 초대 부총리를 맡아 기술 발전에 기여했다. 오 전 부총리는 그간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등을 통해 부처간 협력의 틀을 구축하고 `차세대 성장동력 산업'을 선정, 추진해 경제성장의 발판을 공고히 했다는 게관가 안팎의 대체적인 평가다. 특히 김우식 신임 부총리가 내정된 지난 1월 초순 이후에도 업무 공백을 우려,긴장감을 늦추지 말라는 당부와 함께 간부회의를 직접 주재하고 주요 현안을 챙기기도 해 눈길을 끌었다. 오 전 부총리는 특히 일부 설문조사에서 `정보통신 분야의 획기적 발전을 이끌었던 관료 베스트 10'에 선정되기도 했다. 하지만 재임기간 세계 과학사의 최대 스캔들 가운데 하나로 기록될 황우석 서울대 교수의 논문조작 사건을 둘러싸고 과기부 수장으로서의 관리능력에 `흠'을 남겼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특히 올해 1월 서울대 연구동 곰팡이 오염사고로 줄기세포가 사멸하는 사건이발생할 당시 적절한 대응을 하지 못하고 황 교수를 격려하는 수준에서 마무리하는아쉬움을 남겼다. 또 논문조작 사건과 관련해 "재검증은 과학저널 사이언스 등에 맡겨야 한다"며황 교수를 끝까지 두둔하는 듯한 태도를 보여 신진 과학자들로부터 반발을 샀다. 이 때문에 오 전 부총리가 오랜 기간 사의를 표명했음에도 불구, 과학계 일각에서는 그의 퇴진을 경질성 조치로 바라보는 시각도 적지 않았다. 체신부 장관과 건설교통부 장관, 동아일보 회장, 아주대 총장 등 요직을 두루거친 오 전 부총리는 잠시 휴식을 취한 뒤 오는 3월 모교인 뉴욕주립대 스토니브룩캠퍼스로 돌아가 연구에 전념할 예정이다. 뉴욕주립대는 오 전 부총리의 권한으로 교수를 임명할 수 있는 `오명 석좌'를개설하고 별도의 사무실과 비서를 지원하는 등 노 과학자에게 특별 예우를 해 눈길을 끌고 있다. 입력시간 : 2006/02/10 10:23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