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노인 절반 "자녀와 따로 살겠다"

자녀양육 최대 고민은 교육비 부담…통계청 사회통계조사 결과

60세 이상 노인 10명 중 5명은 자녀와 따로 살고 싶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자녀를 키우면서 가장 어렵다고 느끼고 있는 점은 보육(교육)비용에 대한 부담이었다. 통계청은 지난 6월 전국 3만3천 가구 만 15세 이상 가구원 약 7만명을 대상으로실시한 사회통계조사(복지.안전.환경)를 25일 발표했다. ◇노인 절반 "자녀와 같이 살고 싶지 않다" = 60세 이상 노인 중 향후 자녀와같이 살고 싶은 지 여부를 물은 결과 `그렇다'는 노인이 47.5%, `그렇지 않다'는 노인은 52.5%로 조사됐다. `자녀와 같이 살고 싶다'는 응답은 여자(51.6%)가 남자(42.0%)보다 많았고 또연령이 높을수록 많았다. 자녀와 따로 살고 싶다고 대답한 노인들은 장래 살고 싶은 곳으로 자기 집(85.3%)을 가장 많이 꼽았고 다음은 무료양로원 및 요양원(8.9%), 유료양로원 및 요양원(4.5%) 등의 순이었다. 현재는 60세 이상 노인 중 40.9%가 자녀와 같이 살고 있고 이 비율은 도시(47.9%)가 농어촌(26.8%)보다 훨씬 높았다. 현재 자녀와 따로 사는 노인들은 그 이유로 '따로 사는 것이 편해서'(38.3%)라는 답변을 가장 많이 했고 이어 '자녀의 직장.학업 때문'(20.6%), '수입과 건강 등으로 독립 생활이 가능해서'(20.3%), '자녀에게 부담이 될까봐'(16.0%) 등을 꼽았다. 60세 이상 노인들은 경제적 어려움(45.6%)을 가장 큰 애로로 꼽았고 건강문제(27.1%)와 소일거리 없음(6.8%)을 최대 걱정거리로 꼽은 노인도 많았다. 이 같은 답변은 현재 생활비 마련방법을 물은 질문에 본인 및 배우자 부담으로살고 있다는 노인이 59.1%에 그치고 자녀 또는 친척지원에 의존하는 노인이 40.1%를나타낸 것과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생활비를 본인이나 배우자가 부담하는 경우 그 방법은 근로소득 및 사업소득(66.1%), 연금.퇴직금(14.6%), 재산소득(11.5%), 예금.적금(7.8%) 등의 순이었다. 15세 이상 전체 가구를 대상으로 한 조사에선 63.5%가 '노후준비를 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주된 노후준비 방법은 국민연금(35.9%), 예금.적금(22.8%), 사적연금(20.2%) 등을 꼽았다. ◇자녀 양육 어려운 점 '보육비용' = 아이를 키우면서 가장 어렵게 느끼는 점으로 57.7%의 가구가 각종 사교육비 등 보육 비용 부담을 꼽았다. 다음으로 '안심하고 맡길 곳이 없다'(23.0%), '긴급상황 때 도와줄 사람이나 시설이 없다'(9.1%), '배우자나 가족의 협조가 부족하다'(8.5%) 등이 뒤를 이었다. 보육비 부담을 꼽은 응답률은 어머니가 전업주부인 가구는 68.7%에 달했고 시간근무제(62.9%)나 전일근무제(51.6%)인 경우도 높기는 마찬가지였다. 자녀를 보육기관에 보내는데 드는 비용이 소득에 비해 `부담된다'고 답한 가구는 75.2%였고 3.7%만이 `부담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보통'은 21.1%였다. 부담된다는 응답률은 도시권(76.4%)이 농어촌(68.4%)보다 높았다. 정부가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보육 문제로는 43.4%가 보육비 지원확대를 들었고 보육서비스 질적 향상(21.5%)과 보육시설 확충(14.7%)에 대한 요구도 많았다. 낮시간이나 방과후 만 10살 이하 자녀를 보살피는 주체(복수응답)로는 부모라는응답이 60.5%로 가장 높았으나 지난 2002년 조사(62.6%)보다는 다소 낮아졌다. 할머니 등 가족이나 친인척도 같은 기간 14.8%에서 2.8%로 떨어졌다. 대신 학원이라는 응답은 2002년 14.1%에서 33.1%로 급등했고 보육시설(7.5%→ 14.0%), 유치원(5.3%→13.8%), 혼자 또는 아이들끼리 보냄(6.9%→9.2%), 방과후 교실(0.1%→4.4%) 등의 응답률도 높아졌다. 보육기관을 이용하지 않는 가구는 그 이유로 52.9%가 부모를 포함해 가족이 돌보는 게 안심되기 때문이라고 답했으나 24.8%는 보육료 부담을 들었다. 보육기관을 이용하는 가구는 자녀 발전(45.9%), 예.체능 특기교육(18.3%), 학습지도 필요(17.7%) 등의 순으로 그 이유를 들었다. 자녀가 다니는 보육기관에 대한 만족 여부에 대해서는 만족스럽다는 답변이 45. 6%, 보통이라는 답변이 44.4%를 차지했고 불만족스럽다고 답한 가구(9.0%)는 비용부담(49.3%) 때문이라고 대답했다. 보육기관 선택에서 최대 고려사항으로는 교육내용(48.5%), 원장의 운영철학이나교사 자질(15.1%), 집과 거리(11.1%) 등을 꼽았고 우선적으로 확충됐으면 하는 시설로는 방과후 교실(32.6%), 직장보육시설(23.4%), 야간.24시간.휴일.시간제 보육시설(22.3%), 영아전담시설(11.1%) 등의 순이었다. ◇"장애인에 대한 사회적 차별 심하다" = 우리 사회의 교육, 고용 등 생활 전반에 장애인 차별이 심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74.6%에 달했다. 하지만 조사대상의 89.1%는 평소 자신은 장애인 차별을 하지 않는다고 답해 사회의 장애인 차별에 대한 인식과 주관적 인식 간에 차이를 보여줬다. 특히 나이가 많을수록 자신이 장애인차별을 하지 않는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많았다. 장애인들은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사회에서 장애인 차별이 심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장애인을 대하는 비장애인의 바람직한 태도에 대해 64.7%는 장애를 고려해 더배려해야 한다고 여겼으며 비장애인과 똑같이 대해야 한다는 사람이 30.5%, 차별해서 대할 수밖에 없다는 사람이 4.8%로 집계됐다. 반면 장애인들의 경우 비장애인과 똑같이 대해야 한다는 사람이 32.7%로 비장애인보다 많았으며 장애등급이 높을수록 똑같은 대우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는 경향이 늘었다. 집 근처에 장애인 생활시설이나 재활시설 등이 설립되는 것에 대해 53.0%는 전혀 문제되지 않는다고 답했다. 하지만 42.2%는 내키지는 않지만 반대는 안 한다고 답했고, 반대하거나 절대로안된다는 사람도 4.8%에 달했다. 정부가 우선적으로 확대해야 할 장애인 복지사업으로 장애인은 37.3%가 장애수당 지급, 26.8%가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사업, 21.4%가 의료비 지원을 각각 꼽았다. 반면 비장애인의 52.0%는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사업을 우선적으로 확대해야 한다고 답했고 의료비 지원(15.5%), 장애수당 지급(15.4%) 등이 뒤를 이었다. 지난 1년 동안 장애인을 위한 봉사활동에 참여한 15세 이상 인구는 8.5%였다. ◇농산물 농약오염 국산보다 외국산 더 불안 = 농산물의 농약오염에 대한 불안정도는 우리 농산물의 경우 `불안하다' 50.1%, `보통' 36.6%, `불안하지 않다' 13.3%였다. 이에 비해 수입 농산물은 `불안' 87.8%, `보통' 10.3%, `불안하지 않다' 1.9%등으로 조사돼 수입 농산물의 농약오염 불안 정도가 더 컸다. 농약오염에 대한 불안 비율은 우리 농산물의 경우 2001년보다 2.4%포인트 감소한 반면 수입 농산물은 4.9%포인트 증가했다. 또 `환경보호를 위해 세금을 내는 것에 대해 찬성한다'는 24.9%에 그쳐 찬성하지 않는다는 응답(37.3%)보다 적었고 찬성 비율도 4년 전보다 2.4%포인트 떨어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