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울진·월성원전 방폐물 처리 고심

경주 임시저장 추진 불구 주민 반발로 일정도 못잡아

경북 경주의 방폐장 내 지상시설인 인수저장건물에 임시로 방폐물을 저장하려는 계획이 주민 반대로 중지되면서 울진원전과 월성원전이 포화상태의 방폐물 처리에 고심하고 있다. 14일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과 각 원전에 따르면 울진원전과 월성원전의 방폐물 임시저장고 저장용량의 94%가 방폐물로 채워졌다. 울진원전은 1만6,400드럼(용량 1만7,400드럼)을 저장했고 월성원전도 8,460드럼(용량 9,000드럼)에 이른다. 두 원전의 남은 저장 용량이 대략 6%에 불과해 각 원전이 방폐물 저장 공간을 확보하는 등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울진원전은 폐기물 처리 건물인 방사성폐기물 건물에 3,600드럼을 저장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하기로 했고 월성원전도 임시저장고 내 작업공간을 최소화해 여유공간을 만들기로 했다. 이들은 이와함께 경주 방폐장 내 지상시설인 인수저장건물 활용을 원하고 있지만 임시저장 가능성은 현재로서는 불투명하다. 한국방사성폐기물관리공단이 1,000드럼의 방폐물을 인수저장건물에 보관하기 위해 지난달 9일 경주시로부터 임시사용 승인을 받았지만 지역 환경단체 등 어민, 방폐장 인근 주민 등이 반대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 최근 한국전력공사와 한국수력원자력 통합논의로 지역 여론이 악화돼 임시저장 일정조차 잡지 못하고 있다. 공단은 한전과 한수원 통합논의로 지역 여론이 악화된 상황이라 이 문제가 매듭지어질 때까지 상황을 지켜본 후 방폐물 임시저장 협의에 들어갈 방침이다. 또 인수저장건물에 대한 설명회를 잇따라 개최하는 등 주민 설득작업을 진행중이다. 공단 관계자는 "올초부터 각 원전의 방폐물 임시저장고는 이미 포화상태"라며 "우선 한전과 한수원 통합논의의 결론이 나야 추후 일정과 계획을 진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인수저장건물은 임시건물이 아니라 60㎝ 두께의 콘크리트 벽과 안전시설이 갖춰진 연구시설이라 각 원전의 임시저장고 보다 더욱 안전하다"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