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중국시장 M&A 급증세… 전략적 접근 필요"

중국에서 기업 대형화와 산업경쟁력 제고를 목적으로 한 인수합병(M&A)이 급증세에 있어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전략적 접근이 필요한것으로 지적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3일 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에 의뢰해 작성한 '중국 주요산업의 자국기업간 M&A 동향' 보고서에서 "중국의 M&A 관련 법률.제도가 정비되면서 2002년 636건에 그쳤던 M&A가 2003년에서 999건으로 늘어나며 57%의 증가세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 보고서는 "업종별로는 개방화 정도가 상대적으로 낮은 기계, 석유화학, 도소매, 금속, 정보기술(IT), 부동산 분야에서 활발한 M&A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유기업보다 민간기업이 더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면서 이는 민간기업이 시장진입 제한을우회하고 자금조달 애로를 극복하는 방안으로 M&A를 활용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 보고서는 "작년에 경기과열 억제조치로 M&A가 일시적으로 위축됐으나 올 하반기부터 다시 활발해 질 것으로 보인다"면서 "중국당국이 오는 2010년까지 30-50개의 국제경쟁력을 갖춘 대형기업을 육성하는 산업정책을 추진 중이어서 앞으로도 M&A가 활발하게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이런 상황변화에 맞춰 우리기업들이 M&A를 통한 경제적 효과를 얻기위해 선(先) 지분참여, 후(後) 경영권 인수방식의 전략이 필요하다"고 지적하고 "M&A를 통한 경제적 효과를 높이기 위해 상대적으로 시장지배력을 갖고 있는 중국기업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구체적인 M&A 추진대상으로 △업종 대표기업 △유통망이 정비된 기업 △외자기업과 합자 및 전략적 제휴 관계를 구축한 기업 △주식분산이 잘돼 적은 비용으로 인수가 가능한 기업 △정부지분이 높되 정부 지분매각을 우선적으로 추진할 기업 등을꼽았다. 보고서는 또 중국 내수시장 공략 전략으로 △지주회사 설립 △연구개발(R&D)센터 설치 △생산거점 확보 △제품다양화 추구 △각종 네트워크 구축 등을 제시하고,"중국시장에서 외국기업이라는 인식을 불식시키는 것이 중요한 만큼 지주회사 설립을 통해 중국사업을 총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서울=연합뉴스) 엄남석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