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6월 1일] 아이 미래가 달린 교육감 선거

'무심코 던진 돌에 개구리가 죽는다.' 교육 대통령인 교육감 선거가 하루 앞으로 다가오면서 이 말이 계속 머릿속을 맴돈다. 아이들의 미래 교육을 책임질 사람을 뽑는 선거인데도 '별 관심이 없다'는 응답 비율이 후보별 지지율을 모두 더한 수치보다 높은 게 '교육감 선거 D-1'의 현실이기 때문이다. 실제로 몇 차례 언론사별 여론조사 발표가 있었지만 매번 '무관심 유권자' 비율은 전체 응답자의 절반 이상으로 나타나 '로또 선거' '깜깜이 선거'의 암울한 복선을 깔아놓았다. 이러다가는 유권자들이 무심코 던진 돌(표)에 어린 개구리(학생)만 상처 입을 판이다. 누구의 책임일까. 난립하는 후보들과 정책이 아닌 이념 대결만을 탓하기에는 유권자들의 무관심이 도를 넘은 것 같다. 대부분의 유권자들이 열흘 넘게 곳곳에 붙어 있는 벽보에는 눈길조차 주지 않고 후보별 공약에 대해 관심은커녕 '시끄럽다' '귀찮다'는 반응만 보인다. 여러 차례 교육감 선거의 의미를 설명하고 이와 함께 '로또 선거'를 우려하는 각종 보도가 나갔지만 여전히 '후보가 누군지 모른다' '공약에 뭐가 있는지 모르겠다'는 무책임한 응답이 돌아온다. 교육감 선거는 아이들의 미래와 관련해 대리권을 가진 어른들이 투표하는 거나 다름없다. 그만큼 유권자들의 한표 한표는 '개인의 권리' 이상의 의미와 파워를 갖고 있다. 교육감은 교육 관련 각종 조례ㆍ규칙 작성부터 교직원 인사권, 수조원에 달하는 예산 편성권까지 가지고 있다. 로또 복권처럼 '당첨되면 대박, 아니면 말고'인 자리가 결코 아니다. 어른들의 무책임한 선택이 초래할 수 있는 결과는 고스란히 투표 권리조차 주어지지 않는, 어른들을 믿고 투표권을 맡겼던 학생들 몫이다. 지금도 늦지 않았다. 집으로 배달된 후보별 공보 자료와 인터넷 등으로 후보의 자질ㆍ공약, 교육 철학을 신중히 검토ㆍ평가해보자. 무심코 던진 한표가 '무능 교육'이라는 돌이 돼 우리 아이들의 미래를 깨뜨릴 수도 있다. '내 한표로 달라지는 건 아무것도 없다'는 변명은 안 된다. '내 한표가 미래 교육의 거름이 된다'는 마음으로 투표소를 향할 때 아이들에 대한 의무도 다하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