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밀양 송전탑 공사 재개했지만 주민들 현장 막아서 큰 차질

6곳 중 절반 사실상 중단

한전이 20일 경남 밀양 지역 765㎸ 송전탑 공사를 재개한 가운데 공사현장인 시내 부북면 위양리 평밭마을에 경찰과 한전 직원이 만일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밀양=이성덕기자

한국전력이 20일 전격적으로 경남 밀양 송전탑 공사를 재개했다. 지난해 9월24일 공사 중단 이후 8개월 만이다. 하지만 일부 현장을 주민들이 막아서면서 공사는 큰 차질을 빚고 있다.

한전은 이날 오전 밀양 송전탑 공사를 재개하기 위해 총 195명의 한전 인력과 장비를 투입했다. 이날 공사가 재개된 현장은 단장면 84ㆍ85ㆍ89번, 상동면 109ㆍ124번, 부북면 127번 송전탑 등 총 6곳이다.

하지만 이날 공사 재개 소식을 들은 주민들이 현장을 막아서면서 절반 가까운 현장의 공사가 사실상 중단됐다. 주민과 한전 직원들과의 직접적인 충돌은 없었으나 고령의 일부 주민들이 시위 도중 타박상을 입는 등 작은 사고도 이어졌다.


밀양 765㎸ 송전탑 공사는 오는 12월 상업운전이 시작될 신고리(140만kW급) 원전에서 생산되는 전기를 영남지역에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관련기사



밀양은 신고리 원전에서 시작해 창녕 북경남 변전소까지 송전탑을 건설하는 총 90.5㎞ 구간 중 일부 구간이다. 총 161기의 송전탑 공사 중 현재 109기가 건설됐지만 밀양 지역을 지나는 52기의 송전탑 건설은 주민들의 반발로 지난해 9월 이후 중단됐다.

한전과 전력 당국은 지난 6개월간 각종 보상안을 제시하며 협의를 시도했지만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주민들 가운데 일부는 여전히 강력하게 지중화 공사를 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한전은 18일 영남지역 전력 수급난과 안정 등 밀양 송전탑 공사 재개의 시급성을 담은 대국민 호소문을 발표하고 이날 작업인력을 투입했다.

경찰은 송전탑 공사현장에 7개 중대 500여명을 배치했다. 한전도 한전병원 등에서 인력을 충원해 만약의 사태에 대비하고 있다. 정부가 안전한 공사를 최우선으로 내세우고 있는 가운데 주민들과의 대치가 장기화될 경우 신고리 원전에서 생산된 전기를 12월부터 수송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해질 것으로 전망된다.


윤홍우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