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용 수준의 64비트 멀티쓰레드 최첨단 데이터베이스관리시스템(DBMS) 저장 시스템이 국내 대학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한국과학기술원(KAIST) 첨단정보기술연구센터장인 황규영(전산학과) 교수는 한국과학재단으로부터 30여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아 DBMS의 핵심 모듈인 저장 시스템`코스모스/MT-64'를 개발하는데 성공했다고 26일 밝혔다.
이 시스템은 64비트 플랫폼(Platform.응용프로그램이 실행될 수 있는 기초를 이루는 컴퓨터 시스템)과 멀티쓰레드(Multi-thread.한 개의 프로그램이 다수의 작업을동시에 수행하는 방식)를 지원하는 상용 수준의 최첨단 DBMS 저장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의 64비트 플랫폼은 100GB 하드디스크 3천억개 저장 용량에 해당하는것으로, 현재 전 세계 모든 웹문서를 저장하고도 남는 방대한 용량이다.
이같은 DBMS 저장시스템은 현재 오라클(Oracle), IBM, 마이크로소프트(MS)와 같은 세계 최고의 DBMS 개발사들만 보유하고 있는 최첨단의 고난도 기술로, 이들 회사도 불과 1-2년 전에야 개발을 완료한 최신 기술이라고 황 교수는 설명했다.
황 교수는 "이 시스템은 10년간의 개발과 5년간의 테스팅과정을 거쳐 세계 시장에 내놓아도 전혀 손색이 없을 것"이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연구개발을 통해 세계시장에서 막대한 부가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DBMS 세계 시장 규모는 약 88억 달러에 달하고 있다.
(대전=연합뉴스) 정찬욱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