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물동량 급감' 마산항 살리자

마산-日시모노세키 직항로 운영 지속추진 등<br>道·市·수산청·선사들 활성화 방안 공동 모색

지난달 28일 경남도청에서 마산지방 해양수산청을 비롯한 유관기관 관계자들이 마산항 활성화대책 회의를 열고 있다.

최근 마산항 물동량이 급감하고 있는 가운데 경남도와 마산지방해양수산청 등 관계기관이 ‘상설 협의체’ 운영과 ‘화물유치 지원조례’ 제정을 계획하는 등 마산항 살리기에 안간 힘을 쏟고 있다. 경남도와 마산시, 창원시, 마산지방해양수산청, 선사, 하역업체, 세관 등은 지난달 28일 경남도청에서 마산항 활성화를 위한 관계기관 긴급 간담회를 갖고 이 같은 결정을 했다. 상설협의체는 마산항 유관 기관으로 구성하고 ▲기업체 대표 1대1 공격적 포트세일즈 ▲마산~시모노세키 직항로 운영 지속 추진 ▲2011년 개장되는 마산항을 부산항 신항의 보조항화에 차질없이 추진하는 것을 골자로 하는 경쟁력 방안을 위해 정례회의를 갖기로 했다. 또 앞으로 마산항을 이용하는 수출입 컨테이너 화주들에 대해 여러가지 인센티브제 혜택을 받을 수 있도록 경남도가 마산항 컨테이너 화물 유치지원조례를 제정키로 하는데 합의했다. 컨테이너 화물의 해상운임과 화역료 일부로 1TEU당 하역비 1만원과 해상운임1만원 등 신규화물 5만TEU 창출을 목표로 10억원 규모의 예산을 확보키로 했다. 이밖에도 마산항 마일리지 카드제를 도입키로 했다. 이 제도는 컨테이너 화물 6만TEU를 신규 창출하는 데 따른 9억원의 추가 재원 마련을 위해 도와 마산항 관련 업체에서 50대50으로 충당하는 것으로 골자를 하고 있다. 경남도와 유관기관들이 이처럼 마산항 살리기에 사활을 걸고 있는 것은 마산항이 부산항 등의 선석과 야적장에서 경쟁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는데다 마산컨테이너 터미널 역시 2011년 부산신항과 동시에 완공되는 만큼 메리트가 없으면 우량 화주 확보가 어렵다는 위기 의식 때문. 실제로 최근에는 마산항을 이용하고 있는 르노 삼성차가 수출부두를 부산항만협의체와 논의했고, LG전자 창원공장의 수출물량이 부산항으로 바꾸는 등 지난 5월의 수송실적이 95만8,000톤으로 지난해 동기보다 42%나 줄었다. 경남도 김종부 국장은 “지역에서는 지난해 신항 명칭문제로 항만의 경제유발효과를 크게 인식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마산항의 개발주체는 해양수산부지만 지역경제 활성화 차원에서 자치단체가 나서야 할 때”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